이동멀티미디어방송(DMB·디엠비)이 출범한 지 10년을 맞았지만 적자 경영이 개선되지 않자 진퇴를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황금알 거위’ 기대안고 출범 뒤
10년만에 적자에 미운오리 신세 빠른 LTE 서비스 맛본 시청자들
불량화질에 전용 콘텐츠 없어 외면 “비상 방송망으로 중요…지원 계속”
“공적자금 더는 투입 말아야” 맞서 무료 보편 플랫폼인 지상파디엠비는 이동 중 텔레비전과 라디오,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는 뉴미디어 방송으로, 2005년 12월 수도권부터 출범했다. 전국 권역의 위성디엠비와 함께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기대를 모았지만 미디어 환경이 급격하게 달라지면서 미운 오리 새끼 신세로 전락한 모양새다. 유료 플랫폼인 위성디엠비는 지상파디엠비보다 7개월 앞선 2005년 5월에 방송을 시작했다. 초창기엔 예능오락과 스포츠 중계 프로그램이 높은 시청률을 보였다. 이동 중에 보는 만큼 호흡이 긴 드라마보다 10~20분짜리 콘텐츠가 인기였다. 그러나 2012년 위성디엠비 유일 사업자인 에스케이의 티유미디어가 스마트폰 대중화 등에 따른 가입자 급속 이탈로 적자를 감당하기 어렵다며 사업권을 반납해, 서비스 개시 7년 만에 폐지됐다. 지상파디엠비는 수도권의 <한국방송>(KBS) <문화방송>(MBC) <에스비에스>(SBS) 등 3개 지상파 사업자와 한국디엠비, 와이티엔(YTN)디엠비, 유원미디어 등 독립법인 사업자로 분류된다. 여기에 2년 뒤 가세한 지역 지상파디엠비들이 있다. 지상파디엠비는 지상파 방송의 콘텐츠 활용, 늘어난 수신 단말기 등으로 위성디엠비보다 나쁘지 않은 여건이었다. 하지만 엘티이(LTE) 서비스가 본격화되고 ‘티빙’이나 ‘푹’ 등 엔스크린이 다양해지면서 “안테나를 빼야 하는 번거로움과 화면이 자주 끊기고 불량 화질이 불만”이었던 디엠비 이용자들이 대거 이동하는 추세다. 여기에 미디어렙법 개정 이후 디엠비 광고가 지상파와의 결합판매 방식에서 제외됨에 따라 광고매출도 급감했다.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의 방송매출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지역을 포함한 지상파 계열사 매출액은 68억원, 한국디엠비 등 독립법인 3사의 총 매출액은 109억원으로 나타났다. 비지상파 계열의 디엠비 사업자 매출액이 더 높은 이유는 할당된 주파수를 쪼개어 홈쇼핑이나 종합편성채널에 임대해 수익을 보전한 것으로, 애초 목적과 달라 논란이 되고 있다. 지상파디엠비의 가장 큰 문제점은 전용 콘텐츠의 부재다. 이동성에 맞춤한 전용 콘텐츠의 개발이 절실한데 사업자들이 심한 적자에 투자를 꺼리는 악순환 구조에 빠져 있다. 지하철이나 터널을 통과할 때 화면이 끊기는 등 취약한 네트워크도 발목을 잡고 있다. 지난해 개정된 방송통신발전기본법에 따라 터널 안에서 재난방송이 원활하게 수신되도록 중계설비 설치가 의무화됐다. 그러나 방통위가 최근 발표한 ‘재난방송 수신환경 전수조사’를 보면, 재난방송 주관 방송사인 한국방송디엠비는 전국 도로·철도의 터널과 지하철 지하공간 등 3026곳 가운데 2528곳(83.5%)이 수신상태가 불량한 ‘먹통지역’으로 나타났다. 특히 철도터널을 통과할 때는 621곳 가운데 614곳(98.9%)에서 방송을 볼 수 없었다. 이와 관련해, 디엠비를 도입할 때 디지털 전환에 대비한다며 이동 수신이 취약한 미국방식(ATSC)을 채택하면서부터 기형적 형태의 서비스가 불가피했다는 지적도 있다. 윤석년 광주대 교수는 “이동 수신 기술은 미국방식을 채택할 때부터 한계가 있었지만 지금이라도 권역별로 중계기를 3~4개만 설치하면 난시청이 상당부분 해소된다”며 지상파디엠비는 비상 방송망으로도 중요하기 때문에 정책적 지원을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밑 빠진 독에 언제까지 공적 자금을 투입해야 하느냐’며 사업권을 회수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김재영 충남대 교수는 “정책적으로 플랫폼을 출발시켜놓고 폐지하는 것은 문제가 있지만 네트워크가 구비되지 않은 반쪽짜리 서비스는 접어야 한다”고 짚었다. 효용성을 따진다면 폭넓은 무료 보편서비스를 위해 지상파 방송의 난시청 해소에 투자하는 것이 더 낫다는 것이다. 방통위는 이달 말 허가 기간이 끝나는 지역 지상파디엠비들의 재허가를 최근 의결하면서 공익적 서비스의 품질 제고 및 활성화를 위한 종합적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방통위 쪽은 “내년 상반기에 이동 수신이 가능한 유에이치디(UHD) 방송 정책과 맞물려 대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문현숙 기자 hyunsm@hani.co.kr
10년만에 적자에 미운오리 신세 빠른 LTE 서비스 맛본 시청자들
불량화질에 전용 콘텐츠 없어 외면 “비상 방송망으로 중요…지원 계속”
“공적자금 더는 투입 말아야” 맞서 무료 보편 플랫폼인 지상파디엠비는 이동 중 텔레비전과 라디오,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는 뉴미디어 방송으로, 2005년 12월 수도권부터 출범했다. 전국 권역의 위성디엠비와 함께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기대를 모았지만 미디어 환경이 급격하게 달라지면서 미운 오리 새끼 신세로 전락한 모양새다. 유료 플랫폼인 위성디엠비는 지상파디엠비보다 7개월 앞선 2005년 5월에 방송을 시작했다. 초창기엔 예능오락과 스포츠 중계 프로그램이 높은 시청률을 보였다. 이동 중에 보는 만큼 호흡이 긴 드라마보다 10~20분짜리 콘텐츠가 인기였다. 그러나 2012년 위성디엠비 유일 사업자인 에스케이의 티유미디어가 스마트폰 대중화 등에 따른 가입자 급속 이탈로 적자를 감당하기 어렵다며 사업권을 반납해, 서비스 개시 7년 만에 폐지됐다. 지상파디엠비는 수도권의 <한국방송>(KBS) <문화방송>(MBC) <에스비에스>(SBS) 등 3개 지상파 사업자와 한국디엠비, 와이티엔(YTN)디엠비, 유원미디어 등 독립법인 사업자로 분류된다. 여기에 2년 뒤 가세한 지역 지상파디엠비들이 있다. 지상파디엠비는 지상파 방송의 콘텐츠 활용, 늘어난 수신 단말기 등으로 위성디엠비보다 나쁘지 않은 여건이었다. 하지만 엘티이(LTE) 서비스가 본격화되고 ‘티빙’이나 ‘푹’ 등 엔스크린이 다양해지면서 “안테나를 빼야 하는 번거로움과 화면이 자주 끊기고 불량 화질이 불만”이었던 디엠비 이용자들이 대거 이동하는 추세다. 여기에 미디어렙법 개정 이후 디엠비 광고가 지상파와의 결합판매 방식에서 제외됨에 따라 광고매출도 급감했다.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의 방송매출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지역을 포함한 지상파 계열사 매출액은 68억원, 한국디엠비 등 독립법인 3사의 총 매출액은 109억원으로 나타났다. 비지상파 계열의 디엠비 사업자 매출액이 더 높은 이유는 할당된 주파수를 쪼개어 홈쇼핑이나 종합편성채널에 임대해 수익을 보전한 것으로, 애초 목적과 달라 논란이 되고 있다. 지상파디엠비의 가장 큰 문제점은 전용 콘텐츠의 부재다. 이동성에 맞춤한 전용 콘텐츠의 개발이 절실한데 사업자들이 심한 적자에 투자를 꺼리는 악순환 구조에 빠져 있다. 지하철이나 터널을 통과할 때 화면이 끊기는 등 취약한 네트워크도 발목을 잡고 있다. 지난해 개정된 방송통신발전기본법에 따라 터널 안에서 재난방송이 원활하게 수신되도록 중계설비 설치가 의무화됐다. 그러나 방통위가 최근 발표한 ‘재난방송 수신환경 전수조사’를 보면, 재난방송 주관 방송사인 한국방송디엠비는 전국 도로·철도의 터널과 지하철 지하공간 등 3026곳 가운데 2528곳(83.5%)이 수신상태가 불량한 ‘먹통지역’으로 나타났다. 특히 철도터널을 통과할 때는 621곳 가운데 614곳(98.9%)에서 방송을 볼 수 없었다. 이와 관련해, 디엠비를 도입할 때 디지털 전환에 대비한다며 이동 수신이 취약한 미국방식(ATSC)을 채택하면서부터 기형적 형태의 서비스가 불가피했다는 지적도 있다. 윤석년 광주대 교수는 “이동 수신 기술은 미국방식을 채택할 때부터 한계가 있었지만 지금이라도 권역별로 중계기를 3~4개만 설치하면 난시청이 상당부분 해소된다”며 지상파디엠비는 비상 방송망으로도 중요하기 때문에 정책적 지원을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밑 빠진 독에 언제까지 공적 자금을 투입해야 하느냐’며 사업권을 회수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김재영 충남대 교수는 “정책적으로 플랫폼을 출발시켜놓고 폐지하는 것은 문제가 있지만 네트워크가 구비되지 않은 반쪽짜리 서비스는 접어야 한다”고 짚었다. 효용성을 따진다면 폭넓은 무료 보편서비스를 위해 지상파 방송의 난시청 해소에 투자하는 것이 더 낫다는 것이다. 방통위는 이달 말 허가 기간이 끝나는 지역 지상파디엠비들의 재허가를 최근 의결하면서 공익적 서비스의 품질 제고 및 활성화를 위한 종합적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방통위 쪽은 “내년 상반기에 이동 수신이 가능한 유에이치디(UHD) 방송 정책과 맞물려 대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문현숙 기자 hyuns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