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승우 80년해직언론인협의회 공동대표(가운데) 등 원로 언론인 30여명이 27일 오후 서울 태평로 한국언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최근 5·18 민주화운동을 왜곡해 물의를 일으킨 <채널에이><티브이조선>을 규탄하고 있다. 이들은 방송통신위원회에 두 종편방송의 허가 취소를 요구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언론계 원로들이 ‘5·18 광주 민주화운동은 북한군 특수부대가 개입한 무장폭동’이라는 주장을 방영해 물의를 일으킨 종합편성채널(종편) <티브이조선>과 <채널에이>에 대한 방송사업자 허가 취소를 촉구했다.
고승우 80년해직언론인협의회 공동대표 등은 27일 서울 태평로 한국언론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사회적 흉기’로 변한 두 종편을 언론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며 방송통신위원회에 허가 취소를 요구했다. 기자회견에는 고 대표를 비롯해 임재경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부회장, 성유보 전 방송위원회 상임위원, 신홍범 전 조선투위 위원장, 장행훈 언론광장 공동대표, 박우정 민주언론시민연합 이사장 등 30여명이 참석했고, 모두 62명이 두 종편 허가 취소를 요구하는 선언문에 서명했다.
이들은 선언문에서 “광주 민주화운동은 신군부의 폭압에 저항하여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일어난 시민항쟁이라고 국가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이 엄연한 사실인데도 5·18 항쟁에 적대적이었던 조선·동아일보에 소속된 종편에서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는 차원을 넘어 입맛대로 날조하는 것을 도저히 묵과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 “언론의 침묵과 왜곡 속에 광주항쟁은 무참히 쓰러져 갔는데 부끄러운 과거를 반성하기는커녕 또다시 신군부의 조작된 주장이 사실인 양 확대 재생산되는 일이 연이어 벌어졌으니 그야말로 통탄할 일”이라고 밝혔다.
문현숙 선임기자 hyuns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