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행령 종료…MSO와 재계약 난항에 속타
종편 등 진입에 가입자 많은 채널서 퇴출 우려
수익배분도 미흡…방통위선 “보호방안 논의”
종편 등 진입에 가입자 많은 채널서 퇴출 우려
수익배분도 미흡…방통위선 “보호방안 논의”
케이블 방송의 ‘개별 피피’(PP·방송채널사용사업자)들이 채널편성권자인 엠에스오(MSO·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와 올해 프로그램 공급(채널편성) 재계약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말로 개별 피피의 의무편성을 강제하는 방송법 시행령 조항의 효력이 끝난데다, 엠에스오 계열 채널 급증·하반기 종합편성채널 무더기 출범 등의 요인이 겹치면서 개별 피피들이 ‘채널 진입 협상’에서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는 것이다.
케이블 전체 등록 피피 250여개 가운데 실제로 활동하는 피피는 150개이다. 1개 채널만 갖고 있는 개별 피피는 70~80개이다. 개별 피피들의 채널 재진입이 올해 더 어려워진 것은 엠에스오와 지상파의 계열 피피 채널편성비율을 각각 35%와 20%로 제한한 방송법 시행령의 한시(일몰제) 조항이 지난해 말 끝났기 때문이다. 그동안 이 조항 덕에 상당수 개별 피피들의 의무편성이 가능했으나 지금은 사정이 달라진 것이다.
여기에 씨제이·티브로드·에이치씨엔 등 엠에스오의 자본이 든든한 계열 피피들이 올해 7개나 늘었고, 종합편성채널과 보도전문채널, 중소 홈쇼핑채널이 올해 안에 새로이 진입할 예정이다. 이 때문에, 개별 피피들은 채널을 받지 못하고 퇴출될 처지에 놓였다고 호소하고 있다. 개별 피피 중 하나인 <리얼티브이>는 엠에스오인 씨앤앰이 153만가구에서 40만가구만 남기는 대폭 축소안을 내놓자 사실상 퇴출이라며 ‘프로그램공급 계약해지 금지’ 가처분 신청서를 27일 서울중앙지법에 내기도 했다.
엠에스오들이 채널 계약에 나설 때 최우선 협상 대상자는 홈쇼핑이다. 수익의 근간이 되는 홈쇼핑채널들과 황금채널 협상부터 시작한 뒤, 다른 엠에스오의 계열 피피들과의 채널 교환협상을 하고, 다시 지상파 계열사 피피들과 협상한다. 씨제이, 티브로드 등 5개 엠에스오의 계열 피피가 모두 30여개에 달해 교환협상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데다 지상파 계열 피피 협상까지 끝나야만 개별 피피들과는 가장 마지막에 남은 채널을 놓고 협상할 수 있는 것이다.
개별 피피들은 앞으로 ‘막강한 경쟁자’ 종편이 들어오면 그나마 설 땅이 더 줄어든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에스오(SO·종합유선방송사업자)들이 이번 협상에서 “종편이 출범하면 다시 조정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기 때문이다. 개별피피발전연합회의 박성호 회장은 “방송법 취지에 따라 채널의 다양성을 위해 경쟁력이 있는 개별 피피들을 20% 이상 편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에스오들은 △시청률 △채널경쟁력 △콘텐츠 다양성 △지역 적합도 등 에스오협회와 피피협회가 만든 ‘케이블티브이 채널 편성을 위한 피피 평가 및 프로그램 사용료 배분에 대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채널을 꽂을) 피피들을 선정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강대관 에스오협회장은 “선정기준에 따라 심사를 하고 있으므로, 콘텐츠 경쟁력이 있는 (개별) 피피들이 배제된다는 주장엔 수긍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름을 밝히지 말 것을 요청한 한 개별 피피의 대표는 “방송법 시행령 일몰제 조항의 기한이 끝나면서 채널 퇴출, 가입자 축소 등 엠에스오들의 횡포가 심각하다”며 “에스오들이 프로그램 사용료인 수신료를 (피피들에) 평균 25% 배분하는 약속도 제대로 지키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또다른 피피 대표는 “종편처럼 황금채널 요구는커녕 뒷번호대라도 끼워주기만 하면 감지덕지”라며 “케이블에선 채널을 얻지 못해 결국 아이피티브이나 위성방송으로 옮겨가야 할 판”이라고 말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에스오와 피피들의 채널 협상을 이달 말까지 최종 마무리하라고 권고하고 있다. 방통위 김정원 뉴미디어정책과장은 “개별 피피를 보호하는 수익료 배분 등을 놓고 제도개선팀에서 다양하게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현숙 선임기자 hyunsm@hani.co.kr
방송통신위원회는 에스오와 피피들의 채널 협상을 이달 말까지 최종 마무리하라고 권고하고 있다. 방통위 김정원 뉴미디어정책과장은 “개별 피피를 보호하는 수익료 배분 등을 놓고 제도개선팀에서 다양하게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현숙 선임기자 hyuns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