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미디어

“나에게 사진은 마음의 창, 영혼의 프레임”

등록 2010-05-13 16:29수정 2010-05-14 08:56

‘우아한 여의도’
‘우아한 여의도’
[하니스페셜: 하니TV] 생활사진가고수
“카메라도 잘 모르지만 명작 찍는 아내가 선생”

사진을 직업으로 하지 않는 평범한 생활인들 중에서 사진을 열심히 찍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앞으로 하니스페셜 사진마을 코너에선 한 달에 한 명씩 우리 주변의 다양한 생활사진가를 소개할 것입니다. 이들은 사진고수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사진에 대한 열정이며 생활 속에서 사진을 즐기려는 자세입니다. 주변의 생활사진가를 추천하고 싶으신 분들은 ‘사진마을’과 ‘포토21’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편집자

찍힌 첫 기억은, 생후 18개월

아들 이겨레군과 딸 이나라양을 즐겨 찍는 이지인(48·서울 강서구 염창동·옆 사진)씨는 평범한 벤처기업에 다니는 직장인입니다. 그에겐 사진과 관련된 추억이 몇 가지 있습니다. 18개월쯤 되었을 때 돌사진을 찍었는데 플래시 터뜨리는 것이 싫어서 뚱했던 기억이 처음입니다. 그래서 지금도 사진 찍히는 것이 싫다고 합니다. 그러나 만 2살이 되기 전의 일을 어떻게 기억하는지 주변에선 믿어주지 않는다는군요.

결정적으로 그가 사진을 좋아하게 된 계기는 고등학교 2학년 때 부임한 선생님 때문입니다.

이지인씨
이지인씨

학창시절에 미술을 못하던 것이 늘 콤플렉스였던 그의 앞에 나타난 미술교사 박재동은 콜라주, 설치미술, 환경미술 등 당시 학생들의 눈엔 경이로운 세계를 소개했고 이지인씨는 놀랍게도 미술에서 최우수점수를 받았습니다. 박 선생은 마지막 강의에서 동영상과 사진으로 세상을 표현하는 방법을 보여주었고 이때부터 사진의 힘과 표현력을 실감하게 됐다고 합니다.


“당신에게 사진은 무엇인가?”라고 물었습니다. 그는 “제게 사진은 마음의 창, 영혼의 프레임입니다. 사진가가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과 가치가 고스란히 담긴 화석같은 것입니다. 그래서 사진을 볼 때 카메라 앞의 피사체보다는 사진을 찍었을 사진가의 마음을 엿보는 데 집중합니다.”

가장 좋아하는 사진가를 물었습니다. 그는 “가족사진을 남긴 전몽각 선생을 좋아합니다. 그의 사진을 보다가 울었습니다. 두 번째는 제 아내입니다. 카메라도 잘 다룰 줄 모르고 사진을 배운 적도 없지만, 우리 집 가족사진의 ‘명작’들은 모두 자신이 찍은 거라며 자랑스러워합니다. 피사체를 더 사랑하는 사람이 좋은 사진을 남긴다는 데 저도 동의합니다.”

사랑이 좋은 사진의 비법

지면에 소개하기 위해 한 장의 사진을 추천받았습니다. 그가 스스로 ‘우아한 여의도’라고 이름붙인 사진(위 사진)입니다. “국회의사당이 있는 여의도. 거기에 한 무리의 청년들이 인라인스케이트를 즐기고 있었습니다. 이 나라 지도자와 국민들이 미래의 주역이라는 청년들에게 해준 것은 참담한 현실밖에 없어요. 이 현실에서도 자신의 취미를 아름답게 연마하고자 노력하는 청년은 아름답습니다. 연아처럼 말이죠. 저는 저 청년의 몸짓이 정치 일 번지 여의도에서 벌이는 ‘우아한 시위’라고 생각했어요.”

인터뷰 전문과 이지인씨의 나머지 사진은 사진마을 홈페이지 photovil.co.kr에서 볼 수 있습니다.

곽윤섭 기자 kwak1027@hani.co.kr

직장인 이지인 씨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뿔 달린 전광훈 현수막’ 소송…대법 “공인으로 감당해야 할 정도” 1.

‘뿔 달린 전광훈 현수막’ 소송…대법 “공인으로 감당해야 할 정도”

김용현 변호인단,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 ‘직권남용’ 등 고발 2.

김용현 변호인단,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 ‘직권남용’ 등 고발

내란의 밤, 불난 120·112…시민들 “전기 끊나” “피난 가야 하나” 3.

내란의 밤, 불난 120·112…시민들 “전기 끊나” “피난 가야 하나”

경호처 직원들에 ‘윤석열 찬양’ 노래 시킨 건 “직장 내 괴롭힘” 4.

경호처 직원들에 ‘윤석열 찬양’ 노래 시킨 건 “직장 내 괴롭힘”

명절로 자리잡은 지 40년 안 된 ‘설날’…일제·독재에 맞선 수난 역사 5.

명절로 자리잡은 지 40년 안 된 ‘설날’…일제·독재에 맞선 수난 역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