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홀로 디지털방송’
방송 전환 어디까지 왔나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이 2012년이면 막을 내린다. 방송의 디지털 전환은 아날로그 시대보다 훨씬 선명한 화질과 음질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산업유발 효과도 143조원이며, 고용 효과도 98만명에 이른다고 한다. 정부는 디지털방송의 성공적 연착륙을 위해 특별법을 만들었다. 그러나 정작 시청자들은 2013년부터 아날로그 티브이로는 디지털 방송 시청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몰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지난 22일 제주에서 열린 방송위원회 주최의 ‘시청자 복지와 방송의 디지털 전환’이라는 세미나에서는 이런 주장과 함께 디지털 전환 이행을 위한 전담기구의 설립 제안도 나왔다.
2012년 아날로그TV 중단
정부·방송사 등 ‘특별법’ 서둘러
디지털TV 보급률 20%대
고화질 투자·수신환경 개선 힘써야 ■ 디지털 전환 실태=우리나라 디지털티브이 보급률은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24.4%에 그쳐 영국(77.2%), 미국(60.1%), 일본(51.5%) 등에 견줘 낮은 수준이다. 또 방송사의 디지털 전환도 송신설비는 100% 갖췄으나 제작·편집설비는 40%선, 중계설비 등은 평균 28%선에 불과했다. 방송위의 박준선 기술정책부장은 이날 세미나 발제에서 “우리나라가 선진국과 비슷한 시기인 2001년 10월에 디지털 전환을 시작하였으나 속도가 느리게 진행되어 이런 추세라면 2010년에도 수상기 보급률은 52%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방송위의 고화질(HD) 프로그램 편성 권고안이 2010년까지 100%를 목표로 하고 있으나 방송사가 자금부족을 이유로 고화질 투자에 소극적이고 그에 따라 소비자도 디지털 티브이 구매를 미루기 때문이다. 또 아직까지 디지털티브이의 가격이 높다는(29인치 기준, 디지털티브이는 50만원, 아날로그 평균 34만원선) 점도 배경이 되고 있다. 방송사는 디지털과 아날로그를 동시 전송하는 부담을 덜기 위해, 전자업체는 수익이 높은 디지털티브이를 팔기 위해 국회에 계류중인 특별법의 조속한 시행을 원하고 있으나, 시청자 측면의 고려는 소홀한 상태다. 이날 발제를 한 김광호 서울산업대 교수는 “전국 시청자 조사에서 74%가 아날로그 방송이 중단된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전략적 홍보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디지털의 정보 격차 =디지털티브이는 아날로그보다 뛰어난 화질과 5.1채널의 고음질에 데이터방송 등 부가서비스를 누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시청자가 새로 디지털 티브이를 장만했어도 수신환경이 개선되지 않아 고화질(HD)프로그램들을 접할 수 없다는 불만이 잇따르고 있다. 결국 개별적으로 일명 ‘잠자리’라는 별도의 안테나 등을 달아 신호를 끌어오거나 케이블로 수신해야만 한다. 2006년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의 실태조사는 전체 공동주택 가운데 83%가 공동수신 설비를 통한 방송 수신이 불가능하다고 발표했다. 이는 공급자 쪽에서 디지털 전환을 성공적으로 하더라도 수신환경이 개선되지 않으면 시청자가 이를 수신할 수 없다는 의미를 지닌다. 2012년 말이면 아날로그 방송은 종료하기 때문에 시청자들은 그 전까지 디지털티브이 수상기로 바꿔야 한다. 특별법안 부칙에서는 디지털 전환에 따른 추가비용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판하는 티브이 수상기에 디지널 튜너를 내장하도록 했다. 내장 의무는 티브이 수상기의 화면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용한다. 76센티미터(30인치) 이상은 내년 7월부터 시행한다. 과거 흑백티브이에서 컬러티브이로 전환했을 때는 강제성이 없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수상기를 교체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에 직면한다. 저소득층인 기초생활수급권자 81만가구는 디지털방송 신호를 아날로그로 전환하는 장치, 디투에이(DtoA) 컨버터를 지원할 계획이다. 단가가 6만원선이고 설치비까지 포함하면 608억원을 소요예산으로 잡고 있다. 212만명에 해당하는 차상위계층 등에도 적용 여부를 검토 중이다. 디지털티브이 보급률이 대도시에서 높고 특히 고속득층의 보급률(28.9%)이 저소득층 보급률(14.4%)의 곱절이라는 점은 경제적 불평등이 정보 격차를 부를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지원정책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김 교수는 또 디지털방송 전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이행 전담기구를 제안했다. 그는 “방송사, 송출회사, 정부, 제조업체 등 주요 이해 당사자 간 느슨한 협력기구가 아니라 구체적 실행기구가 되어야 소비자의 디지털티브이 채택에 촉진 요인이 된다”고 말했다. 문현숙 기자 hyunsm@hani.co.kr
정부·방송사 등 ‘특별법’ 서둘러
디지털TV 보급률 20%대
고화질 투자·수신환경 개선 힘써야 ■ 디지털 전환 실태=우리나라 디지털티브이 보급률은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24.4%에 그쳐 영국(77.2%), 미국(60.1%), 일본(51.5%) 등에 견줘 낮은 수준이다. 또 방송사의 디지털 전환도 송신설비는 100% 갖췄으나 제작·편집설비는 40%선, 중계설비 등은 평균 28%선에 불과했다. 방송위의 박준선 기술정책부장은 이날 세미나 발제에서 “우리나라가 선진국과 비슷한 시기인 2001년 10월에 디지털 전환을 시작하였으나 속도가 느리게 진행되어 이런 추세라면 2010년에도 수상기 보급률은 52%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방송위의 고화질(HD) 프로그램 편성 권고안이 2010년까지 100%를 목표로 하고 있으나 방송사가 자금부족을 이유로 고화질 투자에 소극적이고 그에 따라 소비자도 디지털 티브이 구매를 미루기 때문이다. 또 아직까지 디지털티브이의 가격이 높다는(29인치 기준, 디지털티브이는 50만원, 아날로그 평균 34만원선) 점도 배경이 되고 있다. 방송사는 디지털과 아날로그를 동시 전송하는 부담을 덜기 위해, 전자업체는 수익이 높은 디지털티브이를 팔기 위해 국회에 계류중인 특별법의 조속한 시행을 원하고 있으나, 시청자 측면의 고려는 소홀한 상태다. 이날 발제를 한 김광호 서울산업대 교수는 “전국 시청자 조사에서 74%가 아날로그 방송이 중단된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전략적 홍보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디지털의 정보 격차 =디지털티브이는 아날로그보다 뛰어난 화질과 5.1채널의 고음질에 데이터방송 등 부가서비스를 누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시청자가 새로 디지털 티브이를 장만했어도 수신환경이 개선되지 않아 고화질(HD)프로그램들을 접할 수 없다는 불만이 잇따르고 있다. 결국 개별적으로 일명 ‘잠자리’라는 별도의 안테나 등을 달아 신호를 끌어오거나 케이블로 수신해야만 한다. 2006년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의 실태조사는 전체 공동주택 가운데 83%가 공동수신 설비를 통한 방송 수신이 불가능하다고 발표했다. 이는 공급자 쪽에서 디지털 전환을 성공적으로 하더라도 수신환경이 개선되지 않으면 시청자가 이를 수신할 수 없다는 의미를 지닌다. 2012년 말이면 아날로그 방송은 종료하기 때문에 시청자들은 그 전까지 디지털티브이 수상기로 바꿔야 한다. 특별법안 부칙에서는 디지털 전환에 따른 추가비용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판하는 티브이 수상기에 디지널 튜너를 내장하도록 했다. 내장 의무는 티브이 수상기의 화면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용한다. 76센티미터(30인치) 이상은 내년 7월부터 시행한다. 과거 흑백티브이에서 컬러티브이로 전환했을 때는 강제성이 없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수상기를 교체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에 직면한다. 저소득층인 기초생활수급권자 81만가구는 디지털방송 신호를 아날로그로 전환하는 장치, 디투에이(DtoA) 컨버터를 지원할 계획이다. 단가가 6만원선이고 설치비까지 포함하면 608억원을 소요예산으로 잡고 있다. 212만명에 해당하는 차상위계층 등에도 적용 여부를 검토 중이다. 디지털티브이 보급률이 대도시에서 높고 특히 고속득층의 보급률(28.9%)이 저소득층 보급률(14.4%)의 곱절이라는 점은 경제적 불평등이 정보 격차를 부를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지원정책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김 교수는 또 디지털방송 전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이행 전담기구를 제안했다. 그는 “방송사, 송출회사, 정부, 제조업체 등 주요 이해 당사자 간 느슨한 협력기구가 아니라 구체적 실행기구가 되어야 소비자의 디지털티브이 채택에 촉진 요인이 된다”고 말했다. 문현숙 기자 hyuns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