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미디어

‘RTV’ 5돌, 시청자 주권 디딤돌 놓았다

등록 2007-10-30 19:22수정 2007-10-31 00:32

서울 남대문에 위치한 시민방송 <알티브이> 사무실의 스튜디오에서 <민중언론 참세상>이 기획제작한 <시사프로젝트 피플파워>를 찍고 있다. 알티브이 제공
서울 남대문에 위치한 시민방송 <알티브이> 사무실의 스튜디오에서 <민중언론 참세상>이 기획제작한 <시사프로젝트 피플파워>를 찍고 있다. 알티브이 제공
시민제작 지원 소외계층 참여·소통 북돋워
자립적 재원 확보·‘생생한 삶 속으로 ’ 숙제
‘시청자 주권 시대’를 내건 시민방송 <알티브이>(RTV)가 개국 다섯 돌을 맞았다. 주류 방송과 맞서 대안방송과 대안문화를 지향한 시민참여 방송으로서의 5년의 성과와 과제를 살펴본다.

■ 5년의 성과=지난 5년간 시민사회와 미디어운동 전문집단이 프로그램 제작자로 널리 참여했다. 그 결과 <노동자, 노동자> <이주 노동자 세상> <나는 장애인이다>를 비롯해 사회적 약자나 소수자의 목소리가 담긴 프로그램이 편성의 주축으로 떠올랐다. 사회적 소외계층에 매체 접근을 쉽게 해 참여와 소통을 적극 실천한다는 평을 받고 있다.

대안문화 측면에서도 나름의 기여가 꼽힌다. <영화 날개를 달다>라는 프로그램은 주류 방송들이 할 수 없는 국내외의 독립영화를 꾸준히 소개하면서 문화의 다양성을 넓혀가고 있다.

<무한 자유 지대>는 시민참여가 가장 활발한 공모 프로그램이다. 공식적 심의 없이 영상콘텐츠를 선착순으로 받는다. 물론 특정 기업을 홍보하거나 폭력적·선정적인 것은 제외한다.

김천직 알티브이 편성팀장은 “과거에는 공모 양이 모자라 방송을 채우기가 어려웠다면 요즘은 신청 건수가 3배까지 급증했다”며 “하루에 들어오는 건수가 두세 편, 한달이면 50편 안팎이 된다”고 밝혔다. 양이 많아지면서 논란이 되었던 질도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 알티브이는 촬영장비와 기자재를 시민들에게 무료로 개방하는 시민제작지원센터(CNC)를 운영한다. 그럼에도 지역별 신청 건수를 비교하면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과 부산지역이 가장 많다. 프로그램의 주제와 장르도 생활과 문화 관련 공연 행사 등 아직까지 단순 촬영물이 많다.

알티브이는 전국 대상의 퍼블릭액세스 전문 채널로 출발했다. 미국·남미·유럽 등에서 퍼블릭액세스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대부분 지역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다. 그에 견줘 알티브이는 개국 당시부터 전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위성방송 스카이라이프를 통해 송출되었다. 일부 케이블방송으로도 시청권을 확대하였다. 그러나 케이블에서 고가의 묶음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인지도가 떨어져, 시민과 함께하는 방송이 되기에는 아직 산 넘어 산이다.

또 알티브이는 2년 전 <한겨레>와 함께 제작한 <한겨레 인사이드 현장>과 <조선일보>가 만든 <조선 갈아만든 이슈>라는 프로그램으로 기존 매체의 목소리를 반영하면서 시민참여 방송의 취지와는 맞지 않는다는 논란에 휘말려 일부 시민단체와 거리가 생기기도 했다. 그러나 이 파문을 통해 알티브이는 기존 언론매체와 거리를 둔다는 편성 원칙을 다졌다.

■ 앞으로 과제는?=알티브이의 가장 큰 숙제는 재원 확보와 법적 위상 강화이다. 현재 시민방송 재단은 방송발전기금으로 연 15억원을 지원받고 있다. 이 돈은 방송 채택료와 운영성 경비로 그동안 쓰였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방송위원회가 방송 채택료로 기금 전액을 쓸 것을 요구해 알티브이는 자립적 재원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알티브이는 이와 관련해 지난해에 보류되었던 공익 채널로 선정될 것을 기대하고 있다. 김영철 상임 부이사장은 “시청자 참여 분야의 공익 채널로 선정되면 전국의 케이블 에스오(SO)에 의무 송출된다”며 이렇게 되면 명실상부한 전국방송이 되어 케이블 사업자로부터 수신료를 받을 수 있어 재원 확보에도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밝혔다. 안건은 새달 2일 방송위 전체회의에 상정돼 있다.

알티브이가 방송시장에서 살아남으려면 재정적 자구책 마련뿐 아니라 존재 자체도 모르는 시청자에게 가까이 다가가 인지도를 높이는 노력이 중요하다. 또 프로그램 내용과 소재의 다양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김금녀 상명대 교수는 “시민들이 미디어교육센터 등을 통해 교육을 받다 보니 제작한 영상물이 획일화되어 간다”며 교육 프로그램부터 다양성의 구조를 갖추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현숙 기자 hyuns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단독] 여인형, 총선 직후부터 선관위 노려…‘부정선거’ 자료 정리 요구 1.

[단독] 여인형, 총선 직후부터 선관위 노려…‘부정선거’ 자료 정리 요구

응원봉에 둘러싸인 77살 ‘뜨거운 눈물’…전세계 울린 한마디 [영상] 2.

응원봉에 둘러싸인 77살 ‘뜨거운 눈물’…전세계 울린 한마디 [영상]

‘조사 거부’ 윤석열, 파면사유 추가되나…8년 전 헌재 “헌법수호 의지 없어” 3.

‘조사 거부’ 윤석열, 파면사유 추가되나…8년 전 헌재 “헌법수호 의지 없어”

탄핵심판 주심에 ‘윤석열 지명’ 정형식 헌법재판관 4.

탄핵심판 주심에 ‘윤석열 지명’ 정형식 헌법재판관

윤 대통령 경도된 ‘부정선거론’…방첩사 내부에서는 “근거 없다” 5.

윤 대통령 경도된 ‘부정선거론’…방첩사 내부에서는 “근거 없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