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총리실 등 11개 부처의 출입기자실을 폐쇄한 12일 오전 서울 세종로 외교통상부 청사 로비에서 통합브리핑룸으로 옮기길 거부하는 기자들이 바닥에 앉아 기사를 쓰고 있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직업이기주의’ 여론 역풍 우려
정부가 기자실을 폐쇄한 지 이틀째인 12일 기자들은 정부의 조처에 항의하며 투쟁 움직임을 이어갔다.
하지만 더 물러서지 않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강하고, 기자들의 항의 움직임은 명분이나 조직력이 뒷받침되지 않고 있어 정-언 대결양상이 장기화할 것 같지는 않다. 언론계 일부에서는 기자실 이전이 ‘직업이기주의’로 비치면서 오히려 여론의 역풍을 만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또 알권리라는 측면에서 봐도 새 합동브리핑센터에서 진행될 기자회견 내용을 마냥 무시하면 오히려 정보를 취득할 수 없게 되는 모순에 빠진다. 언론사별, 매체별, 출입처별, 기자별로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을 보는 시각에도 차이가 존재한다. 한 기자는 “극악한 언론탄압이므로 대선까지 통합브리핑실까지 들어가지 말아야 한다”고 말하는 반면, 또다른 기자는 “정부가 취재접근과 관련해 통합브리핑실 운영만 빼고는 사실상 모든 것을 양보한 만큼 저항할 명분이 없다”고 할 정도로 이 문제를 보는 시각차가 크다.
12일 아침 광화문 정부중앙청사 등의 기자실에는 큼지막한 자물쇠가 채워졌다. 굳게 닫힌 출입문에는 “이곳에 기사송고실을 운영하지 않는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었다.
오갈 데 없어진 기자들은 즉시 ‘좌판 기자실’을 만들었다. 외교통상부 출입기자들은 외교부 청사 2층 로비에 소형 깔개나 의자 등을 갖다 놓고 간이 기자실을 차린 뒤 농성 겸 작업을 했다.
정보통신부 기자실에서는 기자들이 ‘꺼낼 물건이 있다’고 요청할 경우 공보실 직원이 잠깐씩 문을 열어주기도 했다. 몇몇 기자들은 “칫솔을 꺼내게 문을 열어 달라”고 요구하는 등 신경전을 벌였다. 정통부 기자들은 그래도 처지가 나았다. 같은 건물에 케이티(KT) 기자실이 있어 대피공간 구실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오전 케이티 기자실 23석은 모두 꽉 찼다. 건교부 기자실에선, 한 기자가 개인 사물을 챙겨 나가겠다고 인수증을 쓰고 기자실로 들어가는 사이에 다른 기자들 8~9명도 함께 들어가 ‘점거 농성’을 벌이며 공무원들과 대치하기도 했다.
이어 기자협회 취재환경개선특위(박상범 위원장)와 정부 부처 기자단 간사들은 회의를 열어, 정부 쪽의 획기적인 태도변화가 없는 한 새 송고실로의 이전을 계속 거부하기로 했다. 또 이번 조처에 대한 책임을 물어 김창호 국정홍보처장 사퇴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간사들은 통합 브리핑실에서 이뤄지는 브리핑은 거부하지만 취재와 보도는 계속해야 하는 만큼 보도자료나 전화를 통한 취재는 하기로 했다.
이재명 기자 mis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