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부처 출입기자들이 국정홍보처의 기사송고실 이전을 거부하고 있는 가운데 11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청사 기자실에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아 대부분 자리가 비어 있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기자실 폐쇄 첫날 표정
인터넷·전화 끊어…출입은 안막아
재경부선 권 부총리 브리핑 거부
행자부 기자단은 ‘제3장소’ 물색
외교부선 기자실 로비 ‘공동행동’
네티즌 87%가 ‘취재선진화’ 찬성 국정홍보처가 11일 기존 부처별 기사송고실의 인터넷 회선을 차단하는 등 사실상 강제폐쇄에 들어가자 기자들은 불편과 불만을 토로하면서도 공동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등 쉽게 물러나지 않을 뜻을 거듭 밝혔다. 홍보처는 이날 합동브리핑센터로 이전을 거부하고 있는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와 과천정부청사 등에 남아있는 11개부처 기사송고실의 모든 인터넷 회선을 끊었다. 기자들의 기사송고를 막기 위한 조처였다. 실제 이날 아침부터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본관에 있는 국무총리실, 통일부, 행자부 등의 기사송고실에서 유선 인터넷 접속이 이뤄지지 않았다. 정부중앙청사 별관의 외교통상부와 과천정부청사의 건설교통부 기사송고실 역시 마찬가지였다. 건교부 기자실은 전화선마저 차단됐다. 홍보처는 하지만 기자들의 출입까지는 막지 않았다. 홍보처 관계자는 “한번 더 기자들에게 이전협조를 요청할 기회를 갖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총리실 등 11개 부처 출입기자 대부분은 이날 합동브리핑센터로의 이전을 거부한 채 기존 부처별 기사송고실로 출근했다. 막상 인터넷이 끊기자 여기저기서 불만이 쏟아져 나왔지만 전날 이미 기자실 폐쇄가 예고됐던 탓에 일부기자들은 별도의 무선장비를 이용해 기사를 송고했다. 미처 장비를 준비하지 못한 기자들은 전화선을 이용했지만 속도가 느려 큰 불편을 느껴야 했다.
홍보처의 기자실 폐쇄 조처에 맞선 기자들의 움직임도 분주했다. 전날에 이어 기자들은 각 출입처별로 회의를 열고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기획예산처 출입기자들은 이날 기자실 폐쇄를 철회하라는 내용의 성명을 내고, 이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브리핑 불참 등 취재거부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행자부 출입기자들은 브리핑 불참은 물론 보도자료를 기사화하는 것도 거부하고 기자들이 옮길 제3의 장소를 물색한다는 계획이다. 외교부 출입기자들은 폐쇄된 기자실 앞 로비에 모여 공동행동을 하겠다고 밝혔다. 합동브리핑센터로 이전을 마친 재경부 출입기자들도 이날 공동행동에 들어갔다. 재경부 출입기자들은 이날 오전 9시30분 긴급회의를 열어 격론 끝에 공동대응 방침을 정하고 이날 10시에 예정된 권오규 부총리의 정례브리핑 참석을 거부했다. 권 부총리는 브리핑실에 왔다가 기자들의 브리핑 거부 방침을 전달받고 브리핑을 취소한다며 굳은 표정으로 자리를 떴다.
기자실 이전을 둘러싼 정부와 기자들의 힘겨루기에도 불구하고 정작 국민들은 무관심하거나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회사원 정현진씨(37)는 “관심도 없고 기자실 이전을 둘러싼 신문보도를 보는 것도 짜증난다”며 “언론사는 자기 편익을 위해 국민의 알권리로 포장하는 것이고, 정부는 대통령의 지시를 그저 따라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한편 인터넷 포털 사이트 엠파스가 실시한 의견조사에 참가한 네티즌 1064명 가운데 930명(87%)이 기자실 통폐합 등 정부의 취재지원선진화방안에 찬성하고 134명(13%)이 반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재명 기자 miso@hani.co.kr
언론단체 엇갈린 반응 언개연 “기자 버티기”-언론노조 “새 정부서 논의”
기협 “강도높게 항의”-인터넷기협 “양쪽 다 답답 기자실 충돌과 관련해 언론 및 시민단체의 기류는 엇갈리고 있다. 기자들의 버티기를 언론인의 자세가 아니라며 비판하는 시각이 있는가 하면, 정부의 처사가 문제라는 쪽, 그리고 양쪽 모두 문제라는 세가지 기류가 있다. 취재선진화방안을 둘러싸고 정부와 기자들이 첨예하게 대립할 때 중재안을 내놓아 해법을 제시했던 언론개혁시민연대의 양문석 사무총장은 이번 문제를 본말이 전도된 현상으로 봤다. 양 총장은 “발로 뛰어야 할 기자들이 기자실이라는 지엽적 공간 문제를 놓고 버티기를 하는 데 뭘 얻겠다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대승적 차원에서 제도적 장치를 확보해가는 데 주력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언론개혁시민연대는 전국언론노조를 주축으로 한 언론개혁 시민단체들의 연대기구이다. 반면에 박상범 한국기자협회 취재환경개선특별위원장은 “국회의 동의를 얻거나 사법부의 결정이라면 모르겠지만 공무원이 사용할 공간을 위해 기자들에게 기자실을 나가라는 것은 정당하지 않다”며 “국민의 알 권리를 막는 취재 봉쇄에는 기본적으로 항의를 표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기자실을 봉쇄한다면 기자단 차원에서 제3의 장소로 옮겨 일을 해 나가도록 행동지침을 내릴 수도 있을 것”이라고 강경 대응방침을 밝혔다. 한편 김서중 민주언론시민연합 공동대표(성공회대 교수)는 “정부는 좀더 언론인들을 설득하면서 합리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언론 현업인들도 언론통제라는 명제만 내세우며 버티는 것은 미래지향적이지 못하다”고 비판했다. 이준희 인터넷기자협회장도 “정부나 기자 쪽 모두가 답답하다”며 “서로 협의해 결정한 사항을 두고 무조건 버티기하려는 것도 문제이고 설득을 하지 못하는 정부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문현숙 기자 hyunsm@hani.co.kr
재경부선 권 부총리 브리핑 거부
행자부 기자단은 ‘제3장소’ 물색
외교부선 기자실 로비 ‘공동행동’
네티즌 87%가 ‘취재선진화’ 찬성 국정홍보처가 11일 기존 부처별 기사송고실의 인터넷 회선을 차단하는 등 사실상 강제폐쇄에 들어가자 기자들은 불편과 불만을 토로하면서도 공동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등 쉽게 물러나지 않을 뜻을 거듭 밝혔다. 홍보처는 이날 합동브리핑센터로 이전을 거부하고 있는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와 과천정부청사 등에 남아있는 11개부처 기사송고실의 모든 인터넷 회선을 끊었다. 기자들의 기사송고를 막기 위한 조처였다. 실제 이날 아침부터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본관에 있는 국무총리실, 통일부, 행자부 등의 기사송고실에서 유선 인터넷 접속이 이뤄지지 않았다. 정부중앙청사 별관의 외교통상부와 과천정부청사의 건설교통부 기사송고실 역시 마찬가지였다. 건교부 기자실은 전화선마저 차단됐다. 홍보처는 하지만 기자들의 출입까지는 막지 않았다. 홍보처 관계자는 “한번 더 기자들에게 이전협조를 요청할 기회를 갖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부처 출입기자들이 국정홍보처의 기사송고실 이전을 거부하고 있는 가운데 11일 오전 서울 세종로 외교부 청사 기자실 앞에 짐을 옮길 때 쓸 빈 상자가 쌓여 있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한편 인터넷 포털 사이트 엠파스가 실시한 의견조사에 참가한 네티즌 1064명 가운데 930명(87%)이 기자실 통폐합 등 정부의 취재지원선진화방안에 찬성하고 134명(13%)이 반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재명 기자 miso@hani.co.kr
언론단체 엇갈린 반응 언개연 “기자 버티기”-언론노조 “새 정부서 논의”
기협 “강도높게 항의”-인터넷기협 “양쪽 다 답답 기자실 충돌과 관련해 언론 및 시민단체의 기류는 엇갈리고 있다. 기자들의 버티기를 언론인의 자세가 아니라며 비판하는 시각이 있는가 하면, 정부의 처사가 문제라는 쪽, 그리고 양쪽 모두 문제라는 세가지 기류가 있다. 취재선진화방안을 둘러싸고 정부와 기자들이 첨예하게 대립할 때 중재안을 내놓아 해법을 제시했던 언론개혁시민연대의 양문석 사무총장은 이번 문제를 본말이 전도된 현상으로 봤다. 양 총장은 “발로 뛰어야 할 기자들이 기자실이라는 지엽적 공간 문제를 놓고 버티기를 하는 데 뭘 얻겠다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대승적 차원에서 제도적 장치를 확보해가는 데 주력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언론개혁시민연대는 전국언론노조를 주축으로 한 언론개혁 시민단체들의 연대기구이다. 반면에 박상범 한국기자협회 취재환경개선특별위원장은 “국회의 동의를 얻거나 사법부의 결정이라면 모르겠지만 공무원이 사용할 공간을 위해 기자들에게 기자실을 나가라는 것은 정당하지 않다”며 “국민의 알 권리를 막는 취재 봉쇄에는 기본적으로 항의를 표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기자실을 봉쇄한다면 기자단 차원에서 제3의 장소로 옮겨 일을 해 나가도록 행동지침을 내릴 수도 있을 것”이라고 강경 대응방침을 밝혔다. 한편 김서중 민주언론시민연합 공동대표(성공회대 교수)는 “정부는 좀더 언론인들을 설득하면서 합리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언론 현업인들도 언론통제라는 명제만 내세우며 버티는 것은 미래지향적이지 못하다”고 비판했다. 이준희 인터넷기자협회장도 “정부나 기자 쪽 모두가 답답하다”며 “서로 협의해 결정한 사항을 두고 무조건 버티기하려는 것도 문제이고 설득을 하지 못하는 정부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문현숙 기자 hyuns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