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무료신문 현황
석달새 세 매체 새로 선보여…기존 6종 합해 300만부 육박
“생계 위협” 주장 가판업자들, 무료신문 규제 입법 청원 채비
“생계 위협” 주장 가판업자들, 무료신문 규제 입법 청원 채비
주춤하던 무료신문 시장에 다시 불이 붙었다. 지난 11일에 창간한 경제신문 〈일일경제〉에 앞서 6월에는 남성용 주간지 〈M25〉, 5월엔 석간 〈더 시티〉 등 석 달 새 한 달에 하나꼴의 서로 다른 색깔로 선을 보여 왔다. 5년 전 〈메트로〉가 출범한 뒤 가판신문을 흔들며 스포츠신문의 쇠락을 부른 무료신문은 현재 모두 9종이며 하루 총 발행부수도 300만에 달한다.
〈일일경제〉는 지하철뿐 아니라 가정, 관공서, 기업 등에도 무료 배포를 하고 있다. 오규식 편집인은 “국가정책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오피니언 리더 1만명을 선정해 별도로 배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른바 독자를 선택하는 신문을 내세우고 있다. 또 무료신문에서는 처음으로 사설까지 도입했다. 오 편집인은 “편집국 기자 20여명이 기사 70~80%를 생산하고 사설도 촉탁 논설위원 5명이 돌아가며 쓰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의 무료신문 〈이그재미너〉를 모델로 하여 가정배달판의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첫 석간 무료신문인 〈더 시티〉는 집으로 가져갈 수 있어서 독자층이 더 넓어졌다고 강조한다. 영국의 〈런던 라이트〉, 프랑스의 〈디렉트 수아르〉, 덴마크의 〈메트로 엑스프레스〉 등 성공한 유럽 무료 석간들에 미래를 기대고 있다.
생활정보지 〈벼룩시장〉을 발행하는 미디어윌이 창간한 주간지 〈M25〉는 기존의 무료신문들과 달리 지하철 역내까지 들어왔다. 서울메트로와 5년간 20억으로 무인홍보대 계약을 하였다. 그러나 무료신문의 폐해와 불법성을 고발해온 ‘신문 발행·배포 공정화 대책위원회’ 김선준 사무국장은 “9월 정기국회에서 무료신문들의 법적 제재를 의원 발의로 입법 청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무료신문들이 공정거래법과 도로교통법 등을 위반했다는 법률전문가의 법리적 해석과 가판업자들의 생계권 위협에 대한 대응책이라고 주장해 귀추가 주목된다.
실제로 지하철 가판대는 무료신문 등장 이후 신문 판매가 줄어 울상이다. 충무로역내 가판대에서 신문을 팔고 있는 김창룡(65)씨는 “4~5년 전에는 신문이 하루에 1000부씩 팔렸는데 지금은 400부 정도밖에 팔리지 않는다. 이것도 계속 감소 추세다”라며 한숨을 쉬었다. 이곳은 환승역이어서 인구 이동이 많기 때문에 비교적 신문이 많이 팔리는 곳인데도 과거에 비해 절반 넘게 줄었다는 것이다. 또 다른 가판대에서는 하루 200부씩 팔리는 데 그쳤다.
무료신문 쪽은 포털이나 영상매체의 영향으로 신문을 읽지 않는 젊은이들에게 짧은 기사와 볼거리를 통해 신문으로 옮겨가는 순기능을 한다고 강조한다. 이에 대해 이재경 이화여대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는 “무료신문들은 기사의 가치 판단이나 언론 윤리 측면 등에서 우리나라 저널리즘을 추락시키고 되레 잘못된 읽기 습관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최경진 대구가톨릭대 교수도 “유럽의 무료신문은 품질 제고와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는 광고에만 집착하여 문제”라고 지적했다.
문현숙 기자 hyuns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