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애미 헤럴드>는 제이비어 수아레즈 시장이 노숙자와 부랑인들에게 1표에 10달러의 매표행위를 한 사실을 적발했다.
외국에서 신문매체는 정치적 당파성을 내세우는 게 익숙하다. 미국, 영국 등의 신문들이 대선이나 총선 며칠 전에 사설을 통해 공개적으로 지지후보 또는 정당을 밝히는 게 단적인 예다. 그럼에도 선거후보자나 고위 공직자 검증에 이르면 매체의 당파성과 무관하게 엄정한 잣대를 들이대는 게 확립된 기풍이다.
실제로 <뉴욕타임스>는 최근 미국 민주당의 유력 대선주자인 버락 오바마가 상원의원으로 활동할 때의 의혹어린 행적을 추적보도했다. 그의 후원자들이 관련된 조류인플루엔자(AI) 치료제 개발회사의 주식매입과 그 치료제 개발 지원법안을 오바마가 제출했다는 내용이었다. <뉴욕타임스>는 2000년과 2004년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를 공개지지했다.
미국의 <워싱턴포스트> 등 주요 언론들은 큰 공직선거 때마다 탐사보도 특별팀을 가동해 후보의 돈줄, 재산내역 등을 촘촘하게 검증한다.
<마이애미 헤럴드>의 탐사보도팀은 시장선거에서 매표 사례를 밝혀내 1999년 퓰리처상을 받았다. 제이비어 수아레즈 시장이 노숙자나 부랑인들에게 1표에 10달러의 매표행위를 한 사실을 적발함으로써 당선취소를 이끌어낸 것이다.
<보스톤글로브>는 오바마의 대학 때 주차위반 범칙금과 과태료 등 사소한 법률 위반 문제까지 샅샅이 추적했다. 결국 오바마는 19년이나 잊고 지낸 과태료 미납분을 올 초에 납부했다. 어쨌든 미국 언론계에선 후보검증이 우리 이상으로 활발하다. 그러나 특정 언론매체가 정치적 고려 속에서 이중의 검증잣대를 적용한다는 시비는 거의 없다. 문현숙 기자 hyuns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