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개혁시민연대와 전국언론노동조합, PD연합회의가 30일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 18층 외신기자클럽에서 연 정부의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 방안’에 대한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선 안영배 국정홍보처 차장이 정부의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언론개혁연대·언론노조·PD연합회 등 ‘취재지원 선진화방안’ 토론회
인터넷매체 기자들 “폐쇄적 기자단 개혁 필요”
국정홍보처 “문제 생기면 앞으로 제도적 보완” 정부의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 방안’이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언론 관련 단체들이 나름의 대안을 제시하고 나서 주목된다. 언론개혁시민연대,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방송프로듀서연합회 등이 30일 서울 태평로 한국언론회관에서 연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 방안 어떻게 볼 것인가’ 긴급토론회에 참석한 이들 단체 관계자들은 정부의 방안을 “졸속 추진”이라며 한 목소리로 비판했다. 또 정부가 정보공개 수준을 높이는 것이 우선순위임을 일제히 강조했다. 양문석 언론연대 정책실장은 발제를 통해 “정보개방 확대를 통해 정부와 언론 간 투명성을 높이는 등의 기본방향에는 전적으로 동의한다”면서도 “문제는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을 극히 제한하는 등 방법이 적절치 않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정부 방안이 진정성을 확보하려면 정보공개법 개정, 브리핑제 내실화, 기자실 폐해 극복을 위한 대안 마련 합의 등이 전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발제 뒤 이어진 토론에서 언론 현업단체들과 언론시민단체가 나름의 대안들을 제시했다. 다만 정부 방침 반대에서 한목소리가 이뤄졌던 것과 달리, 대안에선 미묘한 차이들이 읽혔다. 정일용 한국기자협회 회장은 “최근 정보접근권 쟁취를 위한 특별위원회를 발족하고 7가지 대정부 요구안을 정리했다”고 밝혔다. 정 회장이 밝힌 요구안은 △현행 일방적 브리핑제(취재원쪽이 원할 때 취재원쪽이 선정한 당국자가 나서는 방식)를 기자들이 원할 때 해당 당국자를 불러 질의·응답하는 방식으로 개선 △정당한 취재 목적의 사무실 출입 허용 △기자와 접촉한 공무원 보고 의무화 방안 폐지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기자들의 취재 접근권을 보장하기 위한 쪽에 힘이 실렸다. 이에 비해 인터넷 매체 기자들은 기존의 폐쇄적 기자단의 폐단을 없애는 쪽으로 무게를 실었다. 이준희 한국인터넷기자협회 회장은 “정부의 브리핑룸 통폐합 방안에는 반대한다”면서도 “청와대, 통일부, 외교부, 총리실 등 일부에서 기득권을 고수하려는 기자단은 분명 개혁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장윤선 〈오마이뉴스〉 기자는 “서울지방경찰청과 통일부 기자실에선 새로운 매체 기자 출입 여부를 기존 출입기자들이 투표해 결정하는 등 극히 폐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관료들도 (기성 언론의) 출입기자가 아니라고 하면 취재에 잘 응하지 않고 차별을 서슴지 않는다”고 말했다.
언론 관련 시민단체는 정부와 언론 간의 합의를 통한 단계적 추진 방안을 제시했다. 신태섭 민주언론시민연합 공동대표는 △정부의 현 조치 유보 △브리핑제 내실화 협의·보완 착수 △기자의 사무실 출입 구체적 기준 합의 △정당한 취재에 대한 공무원 협력지침 마련 △정보공개법·내부고발자보호제도 개선 등으로 이어지는 다섯 단계의 로드맵을 제안했다. 이에 안영배 국정홍보처 차장은 “이 자리에서 토론을 하다 보니 여전히 서로 간에 소통의 문제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며 “정부의 이번 방안은 2003년에 도입한 개방형 브리핑제의 원래 취지를 살리기 위한 것이라는 기본 방침에는 변함이 없지만, 부분적으로 문제가 생긴다면 앞으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
국정홍보처 “문제 생기면 앞으로 제도적 보완” 정부의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 방안’이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언론 관련 단체들이 나름의 대안을 제시하고 나서 주목된다. 언론개혁시민연대,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방송프로듀서연합회 등이 30일 서울 태평로 한국언론회관에서 연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 방안 어떻게 볼 것인가’ 긴급토론회에 참석한 이들 단체 관계자들은 정부의 방안을 “졸속 추진”이라며 한 목소리로 비판했다. 또 정부가 정보공개 수준을 높이는 것이 우선순위임을 일제히 강조했다. 양문석 언론연대 정책실장은 발제를 통해 “정보개방 확대를 통해 정부와 언론 간 투명성을 높이는 등의 기본방향에는 전적으로 동의한다”면서도 “문제는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을 극히 제한하는 등 방법이 적절치 않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정부 방안이 진정성을 확보하려면 정보공개법 개정, 브리핑제 내실화, 기자실 폐해 극복을 위한 대안 마련 합의 등이 전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발제 뒤 이어진 토론에서 언론 현업단체들과 언론시민단체가 나름의 대안들을 제시했다. 다만 정부 방침 반대에서 한목소리가 이뤄졌던 것과 달리, 대안에선 미묘한 차이들이 읽혔다. 정일용 한국기자협회 회장은 “최근 정보접근권 쟁취를 위한 특별위원회를 발족하고 7가지 대정부 요구안을 정리했다”고 밝혔다. 정 회장이 밝힌 요구안은 △현행 일방적 브리핑제(취재원쪽이 원할 때 취재원쪽이 선정한 당국자가 나서는 방식)를 기자들이 원할 때 해당 당국자를 불러 질의·응답하는 방식으로 개선 △정당한 취재 목적의 사무실 출입 허용 △기자와 접촉한 공무원 보고 의무화 방안 폐지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기자들의 취재 접근권을 보장하기 위한 쪽에 힘이 실렸다. 이에 비해 인터넷 매체 기자들은 기존의 폐쇄적 기자단의 폐단을 없애는 쪽으로 무게를 실었다. 이준희 한국인터넷기자협회 회장은 “정부의 브리핑룸 통폐합 방안에는 반대한다”면서도 “청와대, 통일부, 외교부, 총리실 등 일부에서 기득권을 고수하려는 기자단은 분명 개혁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방안에 대한 언론 관련단체 의견
장윤선 〈오마이뉴스〉 기자는 “서울지방경찰청과 통일부 기자실에선 새로운 매체 기자 출입 여부를 기존 출입기자들이 투표해 결정하는 등 극히 폐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관료들도 (기성 언론의) 출입기자가 아니라고 하면 취재에 잘 응하지 않고 차별을 서슴지 않는다”고 말했다.
언론 관련 시민단체는 정부와 언론 간의 합의를 통한 단계적 추진 방안을 제시했다. 신태섭 민주언론시민연합 공동대표는 △정부의 현 조치 유보 △브리핑제 내실화 협의·보완 착수 △기자의 사무실 출입 구체적 기준 합의 △정당한 취재에 대한 공무원 협력지침 마련 △정보공개법·내부고발자보호제도 개선 등으로 이어지는 다섯 단계의 로드맵을 제안했다. 이에 안영배 국정홍보처 차장은 “이 자리에서 토론을 하다 보니 여전히 서로 간에 소통의 문제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며 “정부의 이번 방안은 2003년에 도입한 개방형 브리핑제의 원래 취지를 살리기 위한 것이라는 기본 방침에는 변함이 없지만, 부분적으로 문제가 생긴다면 앞으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