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홍보처가 중앙 정부부처 기사송고실과 브리핑실(기자실)을 대폭 축소·폐지하는 내용의 기자실 운영방안을 확정해 22일 국무회의에 보고하기로 한 가운데 21일 오후 서울 세종로 외교통상부 청사 기자실에서 출입기자들이 노트북컴퓨터로 기사를 작성하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일부 기자 죽치고 앉아…기자실 때문에 기사 획일화”
국정홍보처가 각 부처 브리핑룸과 기사송고실을 통·폐합하기로 결정한 데엔 노무현 대통령의 의지가 강하게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노대통령, 기자실 운영실태 조사 지시하자
국정홍보처 “브리핑실 많다” 두달만에 결론 국정홍보처가 37곳의 중앙부처 기자실을 세 곳으로 통·폐합해 운영하는 내용의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을 마련한 직접적 계기는 노 대통령의 지난 1월16일 국무회의 발언이었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당시 필리핀 세부에서 열린 ‘아세안+3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돌아온 노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보고받을 때는 ‘국민건강 증진계획’이었는데 텔레비전에 나올 때는 단지 ‘출산비용 지원’ ‘대선용 의심’ 이런 수준으로 폄하됐다”며 “기자실이라는 것 때문에 기사가 획일화되는 부작용이 있다. 이건 기자실에서 만들어진 것이다”라고 비판했다. 노 대통령은 외교통상부 장관과 국정홍보처장에게 “일부 기자가 죽치고 앉아 흐름을 주도하고 보도자료를 가공해 만들어가면서 담합하는 구조가 일반화돼 있는지, 각 나라의 대통령실과 부처 기자실 운영실태를 조사해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국정홍보처는 이에 따라 3월22일 “선진국에 비해 우리 정부부처의 브리핑실 및 송고실이 너무 많다”, “개방형 브리핑 제도의 취지와 달리 송고실이 사실상 출입기자실처럼 됐다”는 내용의 ‘국내·외 정부 취재지원 서비스 실태조사 결과’를 내놓았다. 국정홍보처는 “각계 의견을 수렴해 바람직한 취재지원 시스템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고, 두달여 만인 21일 최종안을 확정해 22일 국무회의에 올린 것이다. 노 대통령의 지시 이후, 청와대와 국정홍보처가 긴밀하게 협의를 하면서 기자실 통·폐합 문제를 진행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의 핵심 관계자는 “기자실 통·폐합 문제는 국정홍보처가 주관했다”라면서도 “청와대가 홍보처와 긴밀하게 협의해 온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안에서는 윤승용 청와대 홍보수석이 국정홍보처와 협의를 주도하며 사실상 총괄 책임을 맡았고, 양정철 홍보기획비서관이 지원 업무를 맡는 방식으로 기자실 시스템 개편을 추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쪽은 기자실 통·폐합 문제가 노 대통령의 국무회의 발언에서 시작됐다는 분석을 ‘잘못된 시각’이라고 주장한다. 청와대의 또다른 핵심 관계자는 “노 대통령은 이미 ‘아세안+3 정상회의’ 참석 이전에 기자실 운영의 문제점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을 지시했고, 청와대 차원의 점검 작업을 추진해왔다”며 “노 대통령의 보건복지부 기사 비판을 계기로 즉흥적으로 (기자실 통폐합이) 추진된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참여정부 출범 초기 개방형 브리핑제 확대와 부처 출입 중심의 기자실 운영제도 개선을 위한 각종 정책을 추진했지만, 일부 부처에서 기존 관행을 답습하면서 이런 취지가 사실상 유명무실화됐다. 그런 문제점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라고 말했다. 참여정부는 출범 초기인 2003년 5월에도 취재시스템 개편 방안을 마련해 출입기자단 제도를 개방형 브리핑제로 바꾼 바 있다. 청와대 홍보수석실 관계자는 “지금처럼 부처에 출입하는 기자들 사이에서 기사를 만드는 시스템은 세계 어디에도 없는 후진적인 취재 관행“이라고 주장했다.신승근 이재명 기자 miso@hani.co.kr
국정홍보처 “브리핑실 많다” 두달만에 결론 국정홍보처가 37곳의 중앙부처 기자실을 세 곳으로 통·폐합해 운영하는 내용의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을 마련한 직접적 계기는 노 대통령의 지난 1월16일 국무회의 발언이었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당시 필리핀 세부에서 열린 ‘아세안+3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돌아온 노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보고받을 때는 ‘국민건강 증진계획’이었는데 텔레비전에 나올 때는 단지 ‘출산비용 지원’ ‘대선용 의심’ 이런 수준으로 폄하됐다”며 “기자실이라는 것 때문에 기사가 획일화되는 부작용이 있다. 이건 기자실에서 만들어진 것이다”라고 비판했다. 노 대통령은 외교통상부 장관과 국정홍보처장에게 “일부 기자가 죽치고 앉아 흐름을 주도하고 보도자료를 가공해 만들어가면서 담합하는 구조가 일반화돼 있는지, 각 나라의 대통령실과 부처 기자실 운영실태를 조사해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국정홍보처는 이에 따라 3월22일 “선진국에 비해 우리 정부부처의 브리핑실 및 송고실이 너무 많다”, “개방형 브리핑 제도의 취지와 달리 송고실이 사실상 출입기자실처럼 됐다”는 내용의 ‘국내·외 정부 취재지원 서비스 실태조사 결과’를 내놓았다. 국정홍보처는 “각계 의견을 수렴해 바람직한 취재지원 시스템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고, 두달여 만인 21일 최종안을 확정해 22일 국무회의에 올린 것이다. 노 대통령의 지시 이후, 청와대와 국정홍보처가 긴밀하게 협의를 하면서 기자실 통·폐합 문제를 진행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의 핵심 관계자는 “기자실 통·폐합 문제는 국정홍보처가 주관했다”라면서도 “청와대가 홍보처와 긴밀하게 협의해 온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안에서는 윤승용 청와대 홍보수석이 국정홍보처와 협의를 주도하며 사실상 총괄 책임을 맡았고, 양정철 홍보기획비서관이 지원 업무를 맡는 방식으로 기자실 시스템 개편을 추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쪽은 기자실 통·폐합 문제가 노 대통령의 국무회의 발언에서 시작됐다는 분석을 ‘잘못된 시각’이라고 주장한다. 청와대의 또다른 핵심 관계자는 “노 대통령은 이미 ‘아세안+3 정상회의’ 참석 이전에 기자실 운영의 문제점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을 지시했고, 청와대 차원의 점검 작업을 추진해왔다”며 “노 대통령의 보건복지부 기사 비판을 계기로 즉흥적으로 (기자실 통폐합이) 추진된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참여정부 출범 초기 개방형 브리핑제 확대와 부처 출입 중심의 기자실 운영제도 개선을 위한 각종 정책을 추진했지만, 일부 부처에서 기존 관행을 답습하면서 이런 취지가 사실상 유명무실화됐다. 그런 문제점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라고 말했다. 참여정부는 출범 초기인 2003년 5월에도 취재시스템 개편 방안을 마련해 출입기자단 제도를 개방형 브리핑제로 바꾼 바 있다. 청와대 홍보수석실 관계자는 “지금처럼 부처에 출입하는 기자들 사이에서 기사를 만드는 시스템은 세계 어디에도 없는 후진적인 취재 관행“이라고 주장했다.신승근 이재명 기자 mis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