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미디어

[미디어전망대] ‘반FTA=친북’ 보수신문의 선동 / 전규찬

등록 2006-08-02 20:26

전규찬 한국예술종합학교 방송영상과 교수
전규찬 한국예술종합학교 방송영상과 교수
미디어전망대
색깔 덧칠하기가 본격화되었다. 조직적인 이념 공세다. ‘신공안정국’ 조성의 분위기마저 비친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지원위원회’ 위원장 내정자인 한덕수 전 경제부총리가 ‘반미 단체’들이 “국민을 오도”하고 있다고 나섰다. 한-미 자유무역협정이 ‘국익’에 유리하다는 “딱 하나뿐인 진실”을 말하는 정부와 수구신문 외에 모두 거짓말쟁이라는 것이다.

그의 주장은 같은 시기 시작된 수구매체의 색깔론과 절묘하게 겹친다. 수구냉전적 신문들은 ‘한-미 자유무역협정 저지 범국민운동본부’(범국본)가 발행한 ‘국민 보고서’를 두고 “논란이 예상된다”, “파문”이라고 풀이한다. 불온서적인 양 매도하고, 위험한 빨간책이라 낙인찍는다. 그럼으로써 좀더 정확한 이해와 판단을 하고자 하는 많은 시민들의 선택을 방해한다. 책 내용이 “흡사 북한의 대남 방송 리플레이인 듯”하다는 〈문화일보〉의 섬뜩한 사설이 그 일례다. “학자인 체” 하는, “한마디로 지적 양심을 저버린 사람들”이라고 비아냥대는 〈조선일보〉의 사설에서 극치를 이룬다.

왜곡과 과장, 조작이 설친다. 과거 공안당국이 흔히 쓰던 말투 그대로다. 신문들이 몇몇 교수의 글 중 일부 문장을 증거로 내세우는 게 딱 그렇다. 한마디로 지적인 사회 소통, 민주적인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야만적 선전 공세, 억압적 검열 행위다. 물어보자. 책을 제대로 읽기나 했는가? 만약 그랬다면 집필자 모두를 소위 “글로벌 트렌드를 철저히 부정하는” 반미주의자로 몰 수는 없을 것이다. 선동하는 것은 진실 규명의 노력에 참여한 학자들이 아니다. “80년대 남미 주민으로 착각하는 반FTA 선동가들”, “‘한-미 FTA 저지’의 실체는 반자본주의·반미”, “FTA 반대인가 친북 반미 선동인가”라는 신문들이 바로 비이성적 선동꾼들이다. “북한보다 더 북한 같은 반FTA 좌파 세력”이라고 재단하는, 책이 잘 팔리는 것을 두고 “좌파의 깊은 뿌리를 실감케 한다”고 한 〈동아일보〉가 정확하게 선동 중이다. ‘범국본’을 구성하는 수백 개 시민사회단체와 학계, 〈PD수첩〉과 〈한겨레21〉 같은 비판적 저널리즘, 그리고 인터넷 등을 통해 반대 의사를 밝히고 나선 시민 모두를 친북세력으로 몰겠다는 것인가?

‘공화국’이라는 표현을 갖고 반공이념 공세를 펼치는 대목에서는 그 무식의 소치에 정말 기가 질린다. 정치사상사적인 맥락에서 민주주의 위기 문제를 논하고자 한 저자의 개념어를 완벽하게 왜곡한다. “민족과 반미를 횡단해” 민주주의 구원에 나서자는 저자를 어떻게 반체제 인사로 둔갑시킬 수 있나? 미국을 대표하는 정치사상가였던 한나 아렌트는 국가의 ‘조직적 거짓’을 비판하면서 〈공화국의 위기〉라는 유명한 책을 내놓았다. 그는 “거짓말을 하는 사람은 청중이 듣고 싶어 하고 기대하는 것을 곧바로 알게 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한 이점”을 갖는다고 설명한다. 반면 “진실은 준비를 해오지 않았음으로 그것으로 인하여 우리가 예기치 않았던 일에 부딪혀 항상 당황하게 되는 일이 생긴다”고 했다.

과연 지금 누가 한-미 자유무역협정의 진실 발견 노력을 통해서 ‘대한민국’ 공화국과 그 민주적 체제 안녕에 기여하고 있는가? 누가 체계적 거짓, 일방적 홍보로 공화국의 질서를 위험에 빠뜨리고 민주주의의 원칙을 위협하는가? 선전은 빠지고, 이성만 나서라.

전규찬 한국예술종합학교 방송영상과 교수 eunacom@knua.ac.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구준엽 통곡에 가슴 찢어져”…눈감은 아내에게 마지막 인사 1.

“구준엽 통곡에 가슴 찢어져”…눈감은 아내에게 마지막 인사

이재명, ‘허위사실 공표죄’ 선거법 위헌법률심판 제청 신청 2.

이재명, ‘허위사실 공표죄’ 선거법 위헌법률심판 제청 신청

계엄날 “아무 일 없었다”는 윤석열 “호수 위 달그림자…” [영상] 3.

계엄날 “아무 일 없었다”는 윤석열 “호수 위 달그림자…” [영상]

전한길과 정반대…한국사 스타 강사 강민성 “부끄럽다” 4.

전한길과 정반대…한국사 스타 강사 강민성 “부끄럽다”

[단독] 윤석열, 구속취소 청구하며 “기한 만료돼 불법구금” 5.

[단독] 윤석열, 구속취소 청구하며 “기한 만료돼 불법구금”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