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다야 라이(왼쪽) 이주노조위원장과 섹알마문 수석부위원장(오른쪽)이 25일 오후 서울 서초동 대법원 앞에서 판결이 나온 뒤 기자회견을 하며 기뻐하고 있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우다야 라이 이주노조 위원장 인터뷰
“노동허가제 쟁취 투쟁 계획
이 판결로 우리 당당해질 거예요”
“노동허가제 쟁취 투쟁 계획
이 판결로 우리 당당해질 거예요”
당당함. 25일 대법원 판결로 노조 설립 신고 10년 만에 합법적 지위를 얻은 우다야 라이(44·사진) 서울경기인천이주노조 위원장이 <한겨레>와 인터뷰에서 “기쁘다”는 소감에 이어 내놓은 말은 “이번 판결로 우리가 당당해질 거예요”였다. 1000여명 가까운 이주노동자 조합원이 가입하고도 고용노동부에 의해 법외노조로 내몰린 채 버티고 견뎌야 했던 긴 세월의 아픔과 설움이 진하게 묻어난다.
우다야 위원장은 “당연한 우리의 권리인데, 대법원이 8년 넘게 판결하지 않은 것을 이해할 수 없어요. 한국 정부가 이주노동자의 권리를 부정하니까 대법관들도 눈치를 본 게 아닌가 싶어요”라고 말했다.
대법원이 대법관 임기 6년보다 2년이나 더 긴 시간 동안 결론을 미루는 사이 이주노조가 겪은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다. 미등록 신분인 위원장들이 자고 나면 정부의 단속에 걸려 며칠 지나지 않아 추방됐다. 필리핀·방글라데시·네팔 등 한국에 있는 아시아 여러 나라의 대사관들은 이주노동자들한테 법외노조인 이주노조 집회에 가지 말라고 당부했다. 이주노동자들이 조합원으로 가입하거나 출입국관리사무소의 감시가 심한 이주노조 사무실에 놀러오기도 쉽잖은 일이었다.
가장 큰 어려움은 임금체불이나 부당노동행위 등의 일이 발생해도 사용자한테 단체교섭을 요구할 수 없는 것이었다. 법외노조의 요구에 중소업체 사장님들은 콧방귀도 뀌지 않았다. 우다야 위원장은 “이제 우리도 교섭할 수 있는 권리가 생겼다”며 “교섭을 통해 우리 근로조건을 개선하고 체불임금도 막고 조합원을 더 조직할 수 있는 힘이 생겼다”고 말했다.
네팔 출신인 우다야 위원장은 2001년 산업연수생으로 한국에 처음 왔다 돌아간 뒤 2007년 고용허가제로 다시 와 2010년부터는 민주노총에 취업해 활동가 비자를 받았다. 그는 이주노동자가 3년까지만 머물 수 있고 사업장 변경도 허가를 받아야 하는 현행 고용허가제를 장기 체류와 사업장 변경이 자유로운 노동허가제로 바꾸는 등의 투쟁을 앞으로 벌여나갈 계획이다.
우다야 위원장은 “앞으로 이주노동자의 전체적인 노동조건 개선을 위해 싸우겠다”고 말했다.
전종휘 기자 symbi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