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노동

충북 기간제 2배↑ 충남 간접고용 4배↑

등록 2014-05-15 19:54수정 2014-05-15 21:27

나쁜 일자리 많아진 지자체들
충북 “계절별 사업 수요 증가 탓”
시민단체 “정부 정책마저 안따라”
공공분야 비정규직 문제와 관련한 중앙정부의 정책은 최소 몇 달에서 2년까지 근로계약을 맺는 기간제 노동자를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무기계약직이 ‘좋은 일자리인가’라는 논란과는 별도로 기간제 노동자와 (파견·용역 등) 간접고용 노동자가 되레 크게 는 지방자치단체는 비판을 피할 길이 없어 보인다.

예컨대 충북도는 기간제 노동자 수가 2010년 76명에서 2013년 160명으로 두배 넘게(110.5%) 늘었다. 같은 기간 전남도의 기간제 노동자도 41.3% 늘었고 울산(39.1%), 대전(33.8%) 등도 마찬가지다. 관련 지자체들은 육아휴직에 따른 대체인력 확보 등 일시적인 현상이거나 비정규직 관련 수요가 는 데 따른 증가라고 항변한다.

울산시 관계자는 15일 “2010년 이후 정규직이나 무기계약직 가운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자가 늘어 그 대체인력으로 기간제 직원이 많이 늘었다. 간접고용 인력은 청사 관리와 경비, 취사 부문에서 수요가 늘어 증가하게 됐다”고 해명했다. 울산시는 간접고용 노동자도 42.6%나 늘었다. 충북도 관계자도 “축산이나 산림환경, 내수면연구소 등 업무 기한이 정해진 사업소의 인력 수요가 는데다 특정 시기에만 발생하는 계절별 사업 수요도 증가한 탓”이라고 말했다.

고용 책임을 회피한다는 측면에서 ‘가장 나쁜 일자리’로 꼽히는 간접고용 노동자가 크게 는 곳도 눈에 띈다. 충남도는 간접고용 노동자가 14명에서 70명으로 4배 늘었다. 강원도(114.3%)와 제주도(88.2%) 등도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간접고용 노동자가 주로 환경미화와 경비 직역에서 일하는 현실을 고려할 때 관리해야 할 시설이 늘어난 것이 배경으로 분석된다. 절대숫자 자체가 기간제 등에 비해서는 크게 작지만 비판을 피하기는 힘들다.

이번 보고서 작성 작업에 참여한 ‘비정규직없는 세상’의 박점규 활동가는 15일 “기간제 노동자 수 자체가 늘었다는 사실은 정부의 무기계약직 전환 정책마저 따르지 않아 생긴 결과라는 점에서 특히 심각하다”며 “간접고용은 고용의 질이 가장 좋지 않다는 점에서 충남도와 강원도, 제주도 등이 반성해야 할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전종휘 기자, 울산/신동명 기자 symbi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검찰, 윤석열 ‘조사 없이’ 내란죄 수사 일단락…앞당겨진 재판 시계 1.

검찰, 윤석열 ‘조사 없이’ 내란죄 수사 일단락…앞당겨진 재판 시계

법원, 윤석열 구속 연장 재신청 ‘불허’…오늘 구속기소 전망 2.

법원, 윤석열 구속 연장 재신청 ‘불허’…오늘 구속기소 전망

“윤석열 신속 처벌”…국책연구기관서도 첫 시국선언 3.

“윤석열 신속 처벌”…국책연구기관서도 첫 시국선언

‘내란 나비’ 김흥국, 무면허 운전 벌금 100만원…음주·뺑소니 전력 4.

‘내란 나비’ 김흥국, 무면허 운전 벌금 100만원…음주·뺑소니 전력

[영상] 폭동에 맞서 각양각색 깃발 쥔 시민들 “윤석열 퇴진하라” 5.

[영상] 폭동에 맞서 각양각색 깃발 쥔 시민들 “윤석열 퇴진하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