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만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신임 위원장이 22일 오후 서울 화곡동 ‘케이비에스(KBS)스포츠월드’에서 열린 정기 선거인대회에서 정견 발표 중 기획재정부가 보낸 공기업 구조조정 관련 문건을 찢고 있다. 김 위원장은 “실패한 국가 정책과 방만한 경영에 따른 책임을 노동자에게 떠넘기는 정부의 태도에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위원장에 김동만 후보 당선
“공기업 투쟁 중심에 설 것”
노정관계 복원 쉽지않을듯
“공기업 투쟁 중심에 설 것”
노정관계 복원 쉽지않을듯
국내 양대 노총 가운데 하나인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의 새 위원장으로 김동만(54) 한국노총 부위원장이 당선됐다. 임기는 3년이다. 김 후보는 선거 기간 내내 가장 강경한 대정부 투쟁 방침을 밝혀, 박근혜 정부 들어 파탄난 노정관계의 복원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한국노총은 22일 서울 강서구 케이비에스(KBS)스포츠월드에서 정기선거인대회를 열어 제25대 노총 위원장에 김동만 후보, 사무총장에 이병균(54) 후보를 선출했다. 전체 선거인단 2704명(조합원 200명당 1명) 중 2473명이 결선 투표에 참여한 가운데 김 후보가 1349표를 얻어 1087표를 모은 문진국 후보(현 위원장)를 눌렀다. 후보 네명 중 과반 득표자가 없었던 1차 투표에선 문 후보가 168표 차로 김 후보를 앞섰다.
전태일열사기념사업회 이사를 맡기도 했던 김 후보가 내건 선거 구호는 ‘반노동자 정권과의 위험한 줄타기 끊겠습니다’였다. 그는 당선 직후 <한겨레>와 한 전화 인터뷰에서 “그간 한국노총이 정부 정책에 들러리 선 측면이 있지만 이젠 안 한다. 한국노총을 노총답게 만들겠다”며 “민주노총 침탈이나 공기업 개선 대책 등에서 정부나 관료가 잘못한 각론에 대해선 사과나 반성 없이 총론으로 노동자 비판만 한다. 맞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진정성 있는 소통 없이 일방적으로 정책을 끌고 간다”고 비판했다.
한국노총은 지난달 22일 공권력에 의한 ‘민주노총 강제난입 사건’ 이후 반정부 투쟁을 선언하고, 노사정위원회 참여나 정부와의 모든 대화를 중단한 상태다. 김 후보는 “정부의 책임자 처벌과 사과 없이 노사정위 복귀는 없다”며 “김대환 노사정위원장도 노총 침탈이 정당하다며 정부 발언을 반복하는 상황에서 노사정위 참여는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에 이어 박근혜 정부에서 노사정의 ‘노’는 한국노총을 의미해왔다. 이에 따라 정부의 임금체계 개편, 근로시간 단축, 정년연장 정책의 연착륙 시도, 이를 위해 김대환 노사정위원장이 다음달 새 지도부가 들어선 한국노총의 노사정위 복귀를 전제로 제안한 ‘패키지 딜’ 방식의 사회적 대타협도 사실상 불가능해 보인다. 정부로선 중도층을 대변한다는 한국노총이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반정부 기조를 강화하면 부담될 수밖에 없지만, 노동계를 상대로 ‘법과 원칙’만 강조해온 탓에 운신 폭이 좁다.
김 후보는 정부가 10월 중간평가를 목표로 추진하는 ‘공공부문 정상화’ 대책을 두고서도 “양대 노총의 경계를 허물고 내가 중심에 서서 (공조해) 싸우겠다”고 밝혔다.
은행원 출신인 김 후보는 전국금융산업노조 우리은행지부 소속으로 이병균 후보와 함께 금융·사무·금속 조합원 등의 지지를 받았다. 타임오프제 폐기, 공공부문 노정교섭 관철, 고용안정협약 체결, 비정규직의 정규직·조직화 확대, 통상임금·최저임금 확대가 이들의 공약이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