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노동

야근 뒤 자야 하는데 ‘무한 카톡’…“답 안 했더니 강퇴당해”

등록 2023-06-04 14:12수정 2023-06-05 05:11

직장인 60% 퇴근 뒤에도 업무 연락 시달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한겨레 730’을 쳐보세요.

“야간 근무 끝나고, 잠을 자야 하는데 끊임없이 울리는 카톡 소리에 잠을 자기 힘들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응답을 안 한다는 이유로 단톡방에서 강퇴당했습니다. 저는 기계가 아닙니다. 잠을 자고, 먹기도 해야 하는 사람입니다.”(지난 3월 직장갑질119 제보 중)

직장인 10명 중 6명이 퇴근 뒤 업무 연락에 시달린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심지어 직장인 4명 중 1명은 단순 연락을 넘어 퇴근 이후에도 집이나 카페에서 회사 업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갑질119, 사무금융우분투재단은 4일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엠브레인 퍼블릭에 의뢰해 지난 3월3일∼10일까지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에서 ‘휴일을 포함해 퇴근 시간 이후 직장에서 전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해 업무 연락을 받았냐’는 질문에 60.5%가 ‘받았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이중 ‘매우 자주 받는다’는 14.5%, ‘가끔 받는다’는 46.0%였다.

‘휴일을 포함해 퇴근 시간 이후 집이나 카페 등에서 일을 하는 경우가 있느냐’는 질문엔 24.1%가 ‘그렇다’고 답했다. 20대의 27.3%로 응답률이 가장 높았고 이어 30대(25.8%), 40대(24.4%), 50대(20.6%) 순이다.

직장갑질119 야근갑질특별위원회 위원장인 박성우 노무사는 “근무시간 외 업무 점검이나 지시는 무급으로 행해지는데 어떠한 제도적 규제 장치도 없는 실정”이라며 “관련 입법은 더는 미룰 수 없는 시급한 과제”라고 말했다. 지난해 9월 퇴근 이후 업무 연락 금지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근로기준법 개정안(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 대표 발의)이 발의됐다.

김해정 기자 se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안희정 쪽 ‘피해자 괴롭히기’ 끝나지 않았다 1.

안희정 쪽 ‘피해자 괴롭히기’ 끝나지 않았다

140억배럴 산유국 ‘헛꿈’…석유·가스 개발 “원점 재검토해야” 2.

140억배럴 산유국 ‘헛꿈’…석유·가스 개발 “원점 재검토해야”

윤석열 ‘대왕고래’ 8달 만에 실패…산업부 “경제성 없다” 3.

윤석열 ‘대왕고래’ 8달 만에 실패…산업부 “경제성 없다”

누나 생일엔 일어나길 바랐지만…6명에 생명 주고 간 방사선사 4.

누나 생일엔 일어나길 바랐지만…6명에 생명 주고 간 방사선사

[단독] 이진우, 윤석열 폭음 만찬 직후 ‘한동훈’ 검색…11월 계엄 준비 정황 5.

[단독] 이진우, 윤석열 폭음 만찬 직후 ‘한동훈’ 검색…11월 계엄 준비 정황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