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노동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시행 3년…발생 주는데 수준은 “심각 ”

등록 2023-04-09 16:48수정 2023-04-09 16:55

직장갑질119 여론조사 결과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제가 유서에 저 사람들 이름을 다 쓰고 자살하면 저 XX들이 알아줄까 싶어서요. 회사 감사실에 가서 말도 했는데 제가 공기업에 재직 중이어서 쉽지 않더라고요.”(직장갑질119 제보 중)

2019년 7월 이른바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개정 근로기준법)이 시행된 지 약 3년9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직장인 10명 중 3명은 여전히 괴롭힘을 겪었고 이중 절반은 괴롭힘 수준이 ‘심각하다’고 답한 여론조사 결과가 9일 나왔다. 법 시행 전과 비교하면 괴롭힘을 당한 직장인 비율은 줄었지만, 괴롭힘 강도는 더 심각해지는 양상이다.

시민단체 직장갑질 119가 여론조사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지난 3월3일∼10일까지 전국 만 19살 이상 직장인 1천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 포인트)를 한 결과를 보면, 30.1%가 최근 1년간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48.5%는 괴롭힘 수준이 ‘심각하다’고 답했다. 10.6%는 자해 등 극단적 선택을 고민했다고 응답했다.

다만, 법 시행 전과 비교하면 괴롭힘 자체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19가 법 시행 직전인 2019년 6월 직장인 1천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괴롭힘을 경험한 비율은 44.5%로 최근 조사에 견줘 14.4%포인트 높았다. 반면 괴롭힘 수준은 오히려 심각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언급한 법 시행 전 벌인 조사(38.2%)와 견주면 심각하다는 응답(48.5%)이 10.3%포인트나 늘었다. 심각하다는 응답은 특히 여성(50.7%), 비정규직(52.9%), 5인 미만 직장(54.9%), 월 150만원 미만(58.3%)에서 응답률이 높았다.

직장갑질119 제공
직장갑질119 제공

이번 조사 결과, 괴롭힘을 경험했다는 응답자 중 ‘회사 혹은 고용노동부 등 관련 기관에 신고했다’고 한 비율은 8.3%에 그쳤다. ‘참거나 모르는 척했다’는 응답이 59.1%로 가장 많았고 ‘회사를 그만뒀다’(32.2%), ‘개인 또는 동료들과 항의했다’(28.2%) 순이었다.

괴롭힘을 신고하지 않은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대응을 해도 상황이 나아질 것 같지 않아서’(71.0%)가 가장 많았다. ‘향후 인사 등 불이익을 당할 것 같아서’(17.0%), ‘다른 사람에게 알려지는 것이 싫어서’(5.8%), ‘시간이 없어서’(4.7%) 차례였다.

괴롭힘을 관련 기관에 신고했다는 응답자(36명)에게 ‘신고 이후 지체없이 객관적 조사, 피해자 보호 등 회사의 조사·조치 의무가 제대로 지켜졌느냐’고 질문한 결과 63.9%가 ‘그렇지 않다’고 했고, 33.3%는 신고로 인해 불리한 처우를 당했다고 답했다. 실제로 지난해 1∼12월 직장갑질119에 제보된 직장 내 괴롭힘 신고 481건 중 ‘조치의무 위반’이 368건(76.5%, 복수 응답), ‘신고를 이유로 불리한 처우’가 212건(44.1%)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사실상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이 현실에선 작동하지 않는 셈이다.

김해정 기자 se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경찰 투입해 언론사 봉쇄…윤석열, 이상민에 직접 지시” 1.

“경찰 투입해 언론사 봉쇄…윤석열, 이상민에 직접 지시”

[단독] 김용현, 군에 “계엄 불응하면 항명죄…대통령 뜻 받들어 명령” 2.

[단독] 김용현, 군에 “계엄 불응하면 항명죄…대통령 뜻 받들어 명령”

구준엽 사별...23년 걸려 이룬 사랑과 “가장 행복”했던 3년 3.

구준엽 사별...23년 걸려 이룬 사랑과 “가장 행복”했던 3년

막무가내 대통령에 국가폭력 떠올려…“이건 영화가 아니구나” 4.

막무가내 대통령에 국가폭력 떠올려…“이건 영화가 아니구나”

‘마은혁 불임명 선고’ 미룬 헌재...절차 완결성 갖추려 신중 행보 5.

‘마은혁 불임명 선고’ 미룬 헌재...절차 완결성 갖추려 신중 행보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