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노동

노조 조직률 6년 만에 상승세 꺾여…지난해 14.2%

등록 2022-12-25 12:00수정 2022-12-25 20:51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2021년 노동조합 조직률은 14.2%로, 2020년과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이래 지속된 상승세가 꺾였다.

고용노동부가 25일 발표한 ‘2021년 전국 노동조합 조직현황’을 보면, 지난해 노조 조직률은 2020년과 같은 14.2%였다. 전체 조합원은 293만3000여명으로 1년 만에 12만8000명 늘었는데, 같은 기간 전체 조직 대상 노동자도 79만5000명 증가(2058만6000명)한 결과다. 노조 조직률은 전체 조합원을 조직 대상 노동자로 나눈 값이다. 노조 조직률은 2014년 10.3%에서 2015년 10.2%로 0.1%포인트 빠졌고, 2016년부터 계속 오르다 6년 만에 상승세가 꺾였다.

조합원이 가맹한 상급단체를 보면, 한국노총이 123만8000명(42.2%)으로 제1노총 지위를 유지했다. 민주노총 조합원은 121만3000명(41.3%)이었다. 조직 형태별로는 산별노조 등 초기업 단위 노조에 가입한 조합원이 열에 여섯(60.4%)이었고 기업별 노조 소속은 39.6%였다.

노조 조직률은 민간보단 공공부문이, 소형 사업장보단 대형 사업장이 높다. 부문별 노조 조직률은 민간 부문이 조직 대상 노동자의 11.2%만 노조에 가입한 반면, 공공부문은 70%, 공무원 부문은 75.3%가 노조에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300명 이상 사업장의 노조 조직률이 46.3%에 이르고 100∼299명 사업장 10.4%, 30∼99명 1.6%였다. 30명 미만 사업장의 노조 조직률은 0.2%에 그쳤다. 이는 이른바 정부의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대책이 소규모, 민간 부문 노동자들이 집단적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구조 마련에 집중돼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요 선진국의 노조 조직률은 한국보다 대체로 높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019년 자료를 보면, 일본은 16.8%, 영국은 23.5%, 캐나다 26.1%, 이탈리아 32.5%, 덴마크 67.0% 등이다. 미국은 9.9%로 한국보다 낮다.

전종휘 기자 symbi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체감 -21도 ‘코끝 매운’ 입춘 한파 온다…6일 다다를수록 추워 1.

체감 -21도 ‘코끝 매운’ 입춘 한파 온다…6일 다다를수록 추워

‘주 52시간 예외 추진’에…삼성·하이닉스 개발자들 “안일한 발상” 2.

‘주 52시간 예외 추진’에…삼성·하이닉스 개발자들 “안일한 발상”

도올 “윤석열 계엄에 감사하다” 말한 까닭은 3.

도올 “윤석열 계엄에 감사하다” 말한 까닭은

휴일 없이 하루 15시간씩, 내 살을 뜯어먹으며 일했다 [.txt] 4.

휴일 없이 하루 15시간씩, 내 살을 뜯어먹으며 일했다 [.txt]

윤석열 ‘헌재 흔들기’ 점입가경…탄핵 심판 가속에 장외 선동전 5.

윤석열 ‘헌재 흔들기’ 점입가경…탄핵 심판 가속에 장외 선동전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