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세포 핵이식 아니라도 DNA 일치할 수 있다” 의혹 제기
어미개 체외수정 시술 흔적 없다면 황교수팀 반증 가능
어미개 체외수정 시술 흔적 없다면 황교수팀 반증 가능
황우석 교수팀 연구에 대한 서울대 조사위원회의 조사가 마무리됨에 따라 진실 규명은 과학적 검증에서 검찰 수사 단계로 넘어갔다. 그러나 조사위의 최종보고서에도 불구하고 스너피와 처녀생식 등은 여전히 과학적 논쟁을 일으키고 있다. 수정란 할구이식 복제 가능성 논란=서울대 조사위는 2005년 8월 <네이처>에 발표된 세계 최초 체세포 이식 복제개 ‘스너피’는 유전자 검사 결과 “스너피가 할구분할이나 초근친교배에 의해 생성된 것이 아니라 체세포 복제에 의해 생성된 개임이 거의 확실하다”고 밝혔다. 조사위는 체세포 제공을 한 ‘타이’(아프간 하운드종)와 ‘스너피’의 DNA(디엔에이) 지문이 일치하고, 난자 제공견(잡종)의 미토콘드리아 디엔에이지문이 타이와는 불일치한 데 비해 스너피와는 일치한 점을 근거로 들었다. 스너피와 타이, 대리모인 ‘심바’(리트리버종)의 미토콘드리아 디엔에이 지문은 서로 달랐다. <네이처>가 미국 국립인간게놈연구소에 의뢰해 얻은 결론도 똑같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스너피가 ‘수정란 할구이식 복제’ 방식으로 태어났다면 조사위가 한 유전자 검사로는 밝혀낼 수 없다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네이처>로부터 의뢰를 받아 유전자 검사를 맡았던 일레인 오스트랜더 박사는 미국 일간지 <피츠버그 포스트-가제트>와의 인터뷰에서 “유전자 검사로는 스너피가 타이로부터 채취된 체세포 핵이식에 의해 복제된 것인지 배아 세포로 복제한 것인지를 구분할 수 없다”고 말했다. 체세포 핵이식은 △체세포에서 핵을 빼내고 △그 핵을 핵을 제거한 난자에 집어넣고 △전기 충격을 주어 난자를 수정란 상태로 만드는 방법을 쓴다. 스너피를 수정란 할구이식 방법으로 만들려면 좀더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 먼저 △임의의 수컷 개 정자와 암컷 난자를 체외수정시켜 수정란을 만들고 △8세포기까지 자라게 한 뒤 △이를 쪼개(할구 분할) △한 할구는 타이의 어미 개 자궁에 착상시키고 △다른 할구는 냉동을 해 3년 동안 보관한 뒤 △녹인 할구에서 핵을 빼내고 핵이 제거된 난자제공견의 난자에 이식해 △대리모 심바의 자궁에 착상시킨다.
수정란 할구이식 복제 방식은 다른 동물들에 적용돼왔다. 황우석 교수는 1995년 이 방식으로 우유를 다량 생산하는 ‘슈퍼소’를 복제했다. 1998년에는 <대한수의학회지>에 이병천 교수 등을 공저자로 한 관련 연구 논문을 싣기도 했다. 이 방식으로는 영장류 복제도 가능하다. 미국 오리건대의 돈 울프 교수는 복제양 돌리가 태어난 직후인 1997년 수정란 할구이식 방식으로 원숭이를 복제했다. 제럴드 섀튼 피츠버그대 교수는 체세포 핵이식 방식으로 원숭이 복제를 시도하다 2003년 <사이언스>에 “영장류 복제는 거의 불가능해 보인다”고 선언했다. 할구이식 복제는 체세포 핵이식보다 과정이 복잡하지만, 복제가 쉬워 그만큼 과학적 성과는 작다. 오스트랜더 박사는 “성체세포를 이용한 핵이식 복제가 수정란 할구를 이용한 핵이식보다 어려운 것은 ‘유전자 재프로그래밍’ 때문이다”고 밝혔다. 유전자 재프로그래밍은 염색체에서 생기는 현상으로, 염색체에서 실처럼 생긴 디엔에이 분자가 실패에 해당하는 히스톤 단백질에 감겨 있는 방식이 달라지는 것을 말한다. 체세포 핵이식의 경우 이 유전자 재프로그래밍을 수정란 방식으로 바꿔줘야 하는데 이 과정이 쉽지 않다. 할구이식의 경우에는 이미 수정란 유전자 재프로그래밍이 이뤄져 있는 상태라 복제가 쉽다는 것이다. 이렇듯 체세포 핵이식 방식이 어려워 복제가 실패하거나 기형 동물이 탄생하는 비율이 높다. 이에 따라 스너피 복제 과정에 한마리의 복제견이 폐렴으로 죽었다는 논문의 보고 내용은 과학계의 의혹을 사고 있다. 그러나 체외수정으로라도 개를 복제한 기록이 없는데, 이런 방식으로 타이가 태어났다면 황 교수팀이 굳이 숨겼겠는가라는 반론도 설득력이 있다. 또 할구이식으로 착상하려면 타이의 어미 개에 체외수정 시술 자국을 남겨야 하기 때문에, 황 교수팀이 그 개에 아무런 상처가 없다는 점을 증명하면 이런 의혹을 쉽게 반박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다만, <네이처>가 서울대 조사위와 자체 유전자 검사 결과에도 불구하고 조사를 계속하고 있어 연구팀에게는 반박 증명을 준비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 <피츠버그 트리뷴 리뷰>는 13일(한국시각) <네이처>가 서울대 조사위의 조사 결과에도 불구하고 자체 조사를 계속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근영 기자 kylee@hani.co.kr
| |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