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조숙증이 의심되는 한 어린이가 관련 전문의의 진료를 받고 있다. 성조숙증으로 진단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사춘기가 2년 이상 일찍 오는 경우 등에 의심해볼 수 있다. 인제대의대 상계백병원 제공
성조숙증 바로 알기
자녀가 성조숙증에 걸린 것은 아닌지 걱정돼 병원을 찾는 부모들이 많다. 하지만 관련 연구 결과를 보면 이렇게 병원을 찾은 아이 10명 가운데 1명 정도만 진짜 성조숙증 환자로 진단됐다. 성조숙증은 보통보다 2차 성징이 나타나는 사춘기가 일찍 시작되는 것을 말하는데, 사춘기가 빨리 오면 뼈의 성장판 역시 일찍 닫히기 때문에 어른이 됐을 때 최종 키가 작아지는 문제가 있다. 지금까지는 소아 비만이나 호르몬 불균형, 스트레스, 인터넷 등을 통한 성적 자극 등이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최근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조숙증에 대해 알아본다.
■ 진짜 성조숙증인지 판별해야 박미정·김신혜 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팀이 2004~2010년 성조숙증이 의심돼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은 8살 미만 여자아이와 9살 미만 남자아이 총 2만1351명을 분석한 결과 실제 성조숙증으로 건강보험을 적용받아 치료를 받은 환자는 이 가운데 10.3%인 2196명으로 나타났다. 성조숙증이 의심돼 병원을 찾은 아이 10명 가운데 1명 정도만 진짜 성조숙증으로 진단된 것이다. 자녀들의 최종 키에 민감하다 보니 병원을 찾은 대부분의 부모들이 성조숙증을 과도하게 염려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성조숙증으로 확진되는 비율은 최근 들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성조숙증으로 확진되는 비율은 2004년 7.5%에서 2010년에는 15.8%가 됐다. 박미정 교수는 “소아비만 증가, 호르몬 불균형, 스트레스, 인터넷 등을 통한 성적 자극 증가 등으로 성조숙증에 해당되는 아이들이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 여자아이가 월등히 많아 이번 연구 결과에서 성조숙증으로 확진된 비율을 성별로 나눠 분석해본 결과 남자아이는 2004년 12%에서 2010년 9.1%로 줄어든 데 견줘, 여자아이는 7.3%에서 16.1%로 2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실제 성조숙증 발생률은 2010년 기준 여자아이의 경우 10만명당 50.4명으로 남자아이의 1.2명에 견줘 큰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박미정 교수는 “여자아이에게 유독 많은 이유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성의 뇌가 환경의 자극적 노출에 더 민감해 성호르몬 자극 호르몬을 더 잘 만들어내는 이유 등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보통 여자아이들은 사춘기가 만 10살, 남자아이들은 만 11살부터 시작된다. 성조숙증은 여자아이의 경우 만 8살 이전에 가슴 멍울이 생긴다거나 만 10살 이전에 초경이 시작될 때를 말한다. 남자아이들은 만 9살 이전에 고환이 커지면 성조숙증을 의심할 수 있는데, 고환의 부피가 4㎖ 이상으로 보통 남성 엄지손가락의 손톱보다 크면 사춘기의 시작으로 보는 점을 알고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이밖에도 이 나이 때에 한달에 1㎝ 이상 키가 클 때도 마찬가지다.
■ 뼈 나이가 실제보다 빠르면 치료 고려해야 사춘기가 일찍 시작됐다고 해서 어른이 됐을 때의 키가 다 작은 것은 아니다. 여자아이들의 경우 보통 초경 뒤에도 5~7㎝는 더 자라고, 남자아이들은 이보다 더 자랄 수 있다. 사춘기가 빨리 왔다고 해서 모두 다 치료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치료 대상이 되는 경우는 성호르몬 분비 자극 검사에서 성호르몬 농도가 매우 높거나 뼈 나이가 실제 나이보다 약 2살 이상 빠른 아이다. 또 사춘기가 진행되고 있는데도 여전히 또래보다 키가 몹시 작은 경우 등이다. 이때에는 성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는 치료를 통해 사춘기를 다소 늦출 수 있다. 많은 부모들이 육류·달걀·두부·우유 등을 많이 먹으면 사춘기가 빨리 시작된다고 알고 있지만 이는 맞는 말이 아니다. 너무 많이 먹으면 문제가 될 수 있기는 하지만 이들 음식이 그 자체로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부모 가운데 사춘기가 빨리 시작됐다면, 아이가 과체중이나 비만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하고 무분별한 보약·건강식품·스테로이드가 든 식품 등도 피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이른바 환경호르몬이 들어 있는 플라스틱, 샴푸, 방향제, 향수, 일회용 용기 등도 사용을 줄여야 한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