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 8961억중 메르스 예산 2553억원
공공의료 확충·방역체계 개선 집중 투자
병문안 문화 개선 위해 접견실 설치
소상공인·전통시장 지원에 1589억
공공의료 확충·방역체계 개선 집중 투자
병문안 문화 개선 위해 접견실 설치
소상공인·전통시장 지원에 1589억
서울시가 감염병 전문 병원 설립 검토에 들어갔다. 또 ‘시장통’ 문병 문화를 개선하기 위해 서울시립 병원에 별도의 면회접견실을 설치하기로 했다. 이들 사업 예산을 포함해, 서울시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 이후 추가경정 예산으로 8961억원을 편성했다.
장혁재 서울시 기획조정실장은 16일 “메르스 피해에 긴급대응하고 침체된 관광시장, 서민경제 회복에 최우선 투자하는 추가경정 예산안으로 8961억원을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전년도 추경 편성 시점보다 두달가량 이른 조처다. 자치구·교육청에 전달되는 의무경비 등을 제외한 115개 사업에 대한 실집행 예산은 5089억원이며, 이 가운데 메르스 사태 수습·대응과 관련한 예산만 2553억원에 이른다.
시는 공공의료 확충 및 감염병 방역체계 개선에 501억원을 증액 집행한다. 감염병 전문병원 신설 타당성 조사, 음압시설, 특수 구급차 등의 시립병원·보건소 시설장비 확충, 메르스 피해 지원 등이 주를 이룬다. 김창보 서울시 보건기획관은 “서울시 현장에 맞춘 감염병 전문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며 “호흡기 감염질환 관련 보건소 장비가 낙후했고 시립병원의 음압시설 문제도 일부 확인됐다. 이미 사용한 비축물자도 다시 채우고자 한다”고 말했다.
시는 감염 피해를 키웠던 병문안 문화도 개선하기 위해 서울의료원, 서남병원, 동부병원에 우선 면회접견실도 설치하기로 했다. 이 경우 응급실 등 병실 내 문병이 제한될 것으로 보인다.
메르스로 위축된 소상공인, 전통시장, 도심 제조업자 등에게 경영지원 명목으로 1589억원을 책정했다. 긴급 금융지원(1089억원), 판매촉진 행사 지원(17억원)뿐만 아니라, 생계가 곤란한 관련업계 종사자·저소득층 대상의 공공일자리도 제공(100억원)한다.
관광산업 활성화엔 208억원이 쓰인다. 지난해 편성된 2015년 관광분야 사업예산의 47% 규모다. 더불어 국내 소외계층의 문화관람 및 지역축제 지원에 260억원을 사용한다. 메르스로 어려움을 겪은 자치구에 대한 지원 취지도 크다.
장 기조실장은 “추경 편성을 위해 먼저 긴축요소를 찾고 올해 취득세 증가분을 반영한 뒤, 모자란 것을 채우고자 1000억원 규모의 지방채를 발행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