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 여파로 부분적인 병원 폐쇄조처가 내려진 서울 일원동 삼성서울병원에서 17일 오후 응급실 관계자가 구급차를 소독하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삼성서울병원이 지난해 11월 의료기관평가인증원(보건복지부 지정 비영리법인)이 실시한 평가에서 감염관리 항목 ‘올백’(All 100)을 맞은 것으로 확인됐다.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은 이번에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최대 감염지로 드러났는데, 의료기관 인증 평가에선 응급실이 부서별 감염관리 평가대상에서 아예 빠져 있었다.
정진후 정의당 국회의원은 17일 “삼성서울병원이 지난해 11월 의료기관인증 평가의 감염관리 부분에서 모두 최고 평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로부터 건네받은 ‘삼성서울병원 의료기관인증 평가 중 감염관리 부분 평가결과’도 함께 공개했다.
정 의원이 공개한 자료를 보면, 삼성서울병원은 ‘감염관리체계’ 7개 조사항목과 ‘부서별 감염관리’ 9개 조사항목에서 모두 ‘상’을 받았다. 평가결과는 상·중·하로 매겨지는데 삼성서울병원이 감염관리와 관련된 16개 조사항목에서 모두 최상위 등급, 만점을 받았다는 얘기다.
삼성서울병원은 17일 현재 80명의 메르스 감염자가 발생할 정도로 감염관리에 허술했다는 사실이 확인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정 의원은 ‘부서별 감염관리’ 평가 항목에서 ‘메르스 확산의 진원지’인 응급실이 빠져 있었던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인증 평가에서조차 응급실 감염관리의 중요성이 소홀이 다뤄졌고, 이런 안이한 분위기를 밑거름으로 메르스 대량 감염 사태가 초래됐다는 분석이다.
인증 평가를 통과하려면 중환자실·내시경실·인공신장실·재활치료실·신생아실·분만실·조혈모세포이식치료실·치과외래·수술장·시술장·조리장 등 부서별 감염관리 실태를 평가받아야 한다. 예를들어 신생아실은 △탯줄 및 조유·수유 등 신생아 관리 △청소·격리·직원 및 방문객 출입관리 등 환경 관리 △욕조·침대·우유병·린넨 등 기구 및 물품관리로 나누어 세부적인 평가가 이뤄진다. 부서별 감염관리 대상인 병원내 모든 공간에서 이처럼 환자 관리, 환경 세척·소독·멸균 과정 등에 대한 감염관리 여부를 평가한다. 응급실은 ‘부서별 감염관리’ 대상에서 제외됐다.
정 의원은 “별도 감염관리 부서들은 감염병 전파 우려가 그만큼 크기 때문에 사전 예방 차원에서 특별 관리를 하는 것이다. 응급실에는 어떤 환자가 들어올 지 아무도 모르고 감염병 위험성도 매우 높은데, 사전에 감염관리 체계가 제대로 만들어져 있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보건복지부는 이에 대해 “응급실 감염관리를 따로 평가하지 않는 것은 맞다. 다만 응급실은 외래와 같은 형태로 보고, 부서별 관리가 아닌 병원 전체의 감염관리에 포함해 포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정부는 의료 서비스의 질과 환자의 안전 수준을 높이려고 지난 2013년부터 의료기관의 자율적인 신청을 받아 의료기관인증제를 실시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인증전담기관인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이 평가를 시행하고 있는데, 인증을 받은 의료기관은 4년간 인증마크를 사용할 수 있다. 삼성서울병원은 지난해 11월25일부터 4일간 인증원 평가 조사를 받고 인증 허가를 받았다. 2015년 1월부터 2019년 1월까지 최상 등급인 상급종합병원 인증 마크를 유지할 수 있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