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연간 한계량 13배 넘어”
암 조기 발견 등을 위해 고가의 건강검진에 사용되는 ‘양전자단층촬영’(PET-CT·펫시티)에 대해 대학병원들이 방사선 노출 위험을 축소해온 사실이 23일 드러났다.
감사원이 지난해 9~10월 원자력안전위원회와 보건복지부 등을 상대로 감사를 벌여 이날 내놓은 ‘방사선 안전관리실태’ 결과를 보면, 국민건강보험공단과 ㄱ대학병원 등 10개 의료기관은 펫시티 촬영 사전동의서, 안내문, 주의사항을 배포하면서 방사선 피폭량이 많다는 사실은 전혀 알리지 않았다. <한겨레>가 23일 조회한 한 대학병원 누리집에서도 펫시티 촬영에 대해선 “암의 조기 발견, 전이 여부의 판별, 악성 여부 판정 및 치료방법뿐 아니라, 암 세포의 정확한 위치까지 파악할 수 있다”고 홍보할 뿐 피폭 수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었다.
펫시티는 촬영 비용이 100만원을 호가하는데도 암세포 조기 발견 등의 ‘효능’ 덕에 국내에서 ‘꿈의 검진’이란 별칭을 얻고 있다. 그러나 방사성동위원소로 구성된 약물을 몸에 주입해 양전자를 방출시키도록 하면서 촬영을 진행하는 탓에, 체내에 13~25밀리시버트(m㏜)의 방사선 피폭을 발생시킨다. 감사원은 “이는 일반 엑스선 촬영 시 노출량의 200배를 웃도는 양으로, 연간 피폭 한계랑의 13배를 넘어서는 수치”라고 밝혔다. 미국에서는 이런 이유로 증상이 없는 성인에겐 펫시티 촬영을 권하지 않는다.
감사원은 “일부 병원은 심지어 펫시티 촬영 시 방사선 피폭이 미미하다고 하는 등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데도 보건복지부는 실태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