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안전처’ 이르면 올안 신설…정부조직법 개정안 9월 정기국회에
사상 최대의 학교급식 사고와 관련해 정부는 그동안 미뤄왔던 ‘식품안전처’를 이르면 연내에 신설해 식품안전 관련 업무를 모두 맡기기로 했다.
정부는 28일 오전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한명숙 총리 주재로 국정현안 정책조정회의를 열어 식품 생산부터 유통과 소비 등 식품안전 전반을 통합관리하는 식품안전처를 설치해 그동안 보건복지부와 농림부 등 8개 부처에 분산돼 있던 식품안전 관련업무를 일원화하기로 했다고 김창호 국정홍보처장이 밝혔다.
정부는 다음달 초 당·정협의를 거친 뒤 식품안전처 설립을 뼈대로 하는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9월 정기국회에서 통과시켜 올해 안으로 식품안전처 신설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식품안전처가 신설되면 식약청은 폐지되고, 의·약품 관련 업무는 복지부로 흡수된다. 또 식품안전 관련 실험을 위한 식품안전연구소가 설립되고, 식품안전정책 심의기구로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식품안전정책위원회가 설치된다.
감사원은 이날 한명숙 총리의 감사 요청에 따라 학교급식 사고 재발 방지와 원인규명 차원에서 전국 초·중·고교 등 일선 학교와 위탁급식업체, 교육부와 16개 시·도 교육청, 식약청 등을 대상으로 7월말까지 급식운용 및 관리실태 전반에 대한 특별감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위탁급식업체 그린캐터링이 급식을 맡은 서울 강북구 영훈고에서도 전날 점심 때 돈가스·쥐어채무침 등을 먹었던 학생 가운데 20명이 설사 증세를 보인 사실이 확인됐다. 이로써 서울·인천·경기 지역 학교에서 지난 16일 이후 식중독성 증세를 보인 학생은 35개 학교 3715명으로 늘어났다. 또 이 업체가 공동 급식하는 두 학교 학생 2028명의 급식이 이날부터 중단됨에 따라 전국 104개교 8만2천여명의 급식이 중단됐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급식사고와 관련된 음식재료 납품업체 한 곳이 사용한 지하수를 현장에서 채취해 검사한 결과 사고 원인균으로 지목된 노로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는 지하수에 대한 2차 검사를 한 뒤에도 노로 바이러스가 나오지 않으면, 음식재료와 환자들의 검삿감에 대한 검사와 역학조사 결과를 기초로 사고 원인을 추정해 발표할 방침이다. 최익림 이수범 김양중 기자 choi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