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의료·건강

5년간 ‘불임 진료비’ 2배 증가…1인당 102만원꼴

등록 2023-05-25 15:22수정 2023-05-25 15:42

난임 주사액과 주사기. 류우종 <한겨레21> 기자 wjryu@hani.co.kr
난임 주사액과 주사기. 류우종 <한겨레21> 기자 wjryu@hani.co.kr

최근 5년간 불임 치료에 들어간 진료비가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출산 연령이 높아지면서 40살 이상 환자가 급증했으며, 1인당 진료비 역시 늘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5일 발표한 ‘최근 5년간(2018∼2022년) 불임 및 난임 시술 현황’을 보면, 불임 치료에 쓰인 연간 총 진료비는 2018년 1245억원에서 지난해 2447억원으로 5년간 96.5%(연 평균 18.4%) 증가했다.

같은 기간 1인당 진료비도 54만6208원에서 102만5421원으로 87.7% 늘었다. 지난해 불임 치료를 받은 환자는 23만8601명으로 2018년 22만7922명 대비 4.7% 증가했다. 연령별로 보면, 40~44살 환자 증가 폭이 가장 컸다. 해당 연령대 환자는 2018년 3만4187명이었다. 지난해 4만4824명으로 31.1% 증가했다. 45~49살은 5년 전에 견줘 23.3% 증가, 50살 이상은 27.6%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20∼24살, 25~29살 환자는 각각 29.3% 14.3% 줄었다.

난임 시술 환자는 지난해 14만458명으로 2018년 12만1038명 대비 16.0% 증가했다. 난임 시술에 쓰인 연간 진료비는 2018년 1542억원에서 지난해 2591억원으로 68.0% 늘었고, 같은 기간 1인당 진료비는 127만3668원에서 184만4354원으로 44.8% 증가했다.

지난해 난임 시술을 가장 많이 받은 연령대는 35~39살(39.2%), 30~34살(27.5%), 40~44살(26.0%) 순이었다. 5년 전에 견줘 20대 난임 시술 환자는 줄었지만, 30·40대 및 50살 이상 환자는 늘었다. 특히 50살 이상 환자는 194.6%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다.

김윤주 기자 ky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1.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대전 초등생 살해 ‘방치된 폭력’…전문가 “가장 비겁한 사건” 2.

대전 초등생 살해 ‘방치된 폭력’…전문가 “가장 비겁한 사건”

‘시청역 역주행’ 금고 7년6개월…법원 “급발진 인정 안 돼” 3.

‘시청역 역주행’ 금고 7년6개월…법원 “급발진 인정 안 돼”

유퀴즈 출연 정신의학과 교수 “우울증은 죄가 없다” 4.

유퀴즈 출연 정신의학과 교수 “우울증은 죄가 없다”

경찰 내부서도 “개판”…내란수사 대상에 맡긴 서울청 파문 5.

경찰 내부서도 “개판”…내란수사 대상에 맡긴 서울청 파문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