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오전 서울역 광장에 마련된 코로나19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의료진이 안내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방역정책 수립을 위한 범사회적·범정부적 정책 자문 기구인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가 출범한다. 박근혜 정부 시절 질병관리본부장(현 질병청장)이었던 정기석 한림대 의대 호흡기내과 교수가 위원장을 맡았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감염병 위기에 대비해 민간 전문가들이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정책을 제언할 수 있도록 국무총리 소속의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를 구성한다고 30일 밝혔다. 위원회는 향후 코로나19 확진자 격리 의무 전환기준 등 주요 방역 의제와 관련해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전문가의 독립적인 검토에 기반한 범사회적·범정부적 정책 자문을 시행할 예정이다.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 조직안. 질병관리청
위원회는 총괄 자문을 수행하는 자문위원회와 분야별 과학적 근거 분석 및 실무 검토를 담당하는 분과위원회 2개(방역의료, 사회경제)로 구성됐다. 방역의료분과 13명, 사회경제분과 12명 등 21명(4명 중복 위촉)이며 위원장은 정기석 한림대 의대 교수다. 방역의료분과 김남중 서울대 의대 교수, 김동현 한림대 의대 교수, 정은옥 건국대 수학과 교수, 최은화 서울대 의대 교수 등은 사회경제분과 위원으로 중복 위촉될 예정이다. 분과위원회는 자문회의 논의 안건별 사전검토 및 합리적인 감염병 정책 수립을 위한 사전 영향 분석, 과학적 근거 마련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 구성(안). 질병관리청
자문위원회는 7월 초 첫 회의 개최를 목표로 현재 안건 발굴 및 훈령 제정 등 행정조치 절차를 진행 중이다. 첫 회의에서는 △코로나19 확진자 격리 의무 전환기준 자문 △실내외 마스크 착용의무 완화 관련 제언 △올해 하반기 재유행 대비 근거에 기반한 대응 전략 권고 등 안건이 상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백경란 방대본 본부장(질병관리청장)은 “이번 자문위원회가 각 분야의 전문가 역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감염병 위기 시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방역 정책을 수립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장현은 기자
mix@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