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단계적 일상회복 이행계획 공청회'에서 박건희 경기도 감염병관리지원단장(왼쪽부터), 이윤성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장,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교수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정부가 코로나19 단계적 일상 회복 이행 계획안을 발표한 가운데, 의료체계 전환과 함께 코로나19 대응의 핵심축인 보건소 인력 확충을 위한 충분한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가 25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코로나19 단계적 일상 회복 이행계획 공청회’를 열었다. 박건희 경기도 감염병관리지원단장(전 안산시 상록수보건소장)은 이날 “단계적 일상 회복을 위해 가장 중요한 질문은 하루 1만명 이상 높은 발생률을 감수할 것인가 아니면 인구 10만명당 5명 이하의 낮은 발생률을 선택할 것인가”라며 “낮은 발생률로 가겠다면 방역망 내 관리(자가격리 중 확진) 비율을 현재 30%에서 40~50% 이상으로 늘리기 위해 보건소 인력과 조직 확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단장은 “치매 등 보건소 건강관리 사업을 하다 코로나19 대응에 투입됐던 이들이 일상 업무로 돌아갈 정도의 추가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며 “전국에 3천명을 채용하기 위해선 연간 2천억~3천억 정도 비용이 필요할 텐데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피해에 비하면 아주 작은 액수”라고 말했다.
코로나19 대응 의료체계를 동네 병·의원에서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으로 연결되는 의료전달체계 안으로 들여오기 위한 장기적인 노력과 투자도 강조됐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교수(감염내과)는 “지금까지 임시 비상 조직으로 해온 코로나19 의료체계를 일상 속의 의료전달체계 안으로 흡수하기 위해선 1~2년의 긴 시간과 엄청난 비용이 필요해, 정부의 충분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들이 일상회복을 2~3개월 안에 마치는 것으로 오해하면 크게 실망할 수밖에 없다”며 “일상회복은 모두가 안전하게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2~3년의 미래를 바라보며 점진적으로 이뤄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이에 정통령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총괄조정팀장은 “코로나19는 통제를 조금만 벗어나도 확진자가 증가해 의료체계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 앞으로 예상되는 확진자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 방역 인력으로는 굉장히 부족하고, 보건소 인력 확충과 전산화를 포함한 효율화가 시급히 요구된다”고 말했다. 박향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보건소 인력도 용역 연구가 진행 중으로 그 결과에 따라서 어떻게 인력을 충원할지 논의를 진행하는 중”이라며 “의료체계 보강도 장기간 진행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훈 기자
watchdo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