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오전 서울 송파구보건소에 마련된 코로나19 선별검사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 대기하다 이동하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이틀 연속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700명대로 발생하는 등 수도권 재확산 조짐이 나타나고 있지만, 앞으로 3주 동안은 신규 예방접종이 더디게 진행될 예정이라 ‘7월 고비’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특히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여름방학·휴가철·무더위를 비집고 젊은층을 중심으로 확산하면 “폭발적인 유행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는 게 방역당국의 설명이다. 고령층이 2차 접종을 마치고, 국민 70%가 1차 접종을 끝내는 9월까지 ‘불안한 여름’을 나게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1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762명 발생했다고 밝혔다. 국외유입을 뺀 지역사회 확진자는 모두 712명인데,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비중이 85%(607명)에 이른다. 전날 전국 794명(수도권 631명)에 이어 이날도 많은 수의 확진자가 나오자, 수도권 재확산의 우려는 한층 더 짙어졌다. 정은경 방대본부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이번 주 들어서 계속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어서 유행이 확산되는 것에 대한 우려가 매우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신규 확진자의 90% 이상은 아직 1회 접종도 받지 못한 사람이다. 방대본이 6월1∼24일 사이 확진자 1만4274명을 조사한 결과, 91%가 미접종자였다. 반면에 87%가 1차 접종 이상을 받은 60살 이상은 확진자 발생률이 지난해 12월 마지막주(12월27일∼1월2일) 인구 10만명당 16명에서 6월 셋째주(13∼19일) 인구 10만명당 4.4명으로 크게 감소했다. 특히 이날 신규 확진자 가운데서도 20∼30대가 43%를 차지하는 등 최근 들어서는 젊은층 확진자 수 증가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런 추이는 1차 접종자라도 빠른 속도로 늘릴 필요가 있다는 점을 드러내지만, 7월 한달간은 1차 접종자가 크게 늘어나지 못할 형편이다. 이날 발표된 7월 접종계획을 보면, 이달 초중순에는 60∼74살 19만7천명(5∼17일)과 30살 미만 사회필수인력 등 11만명(5∼17일)만이 1차 접종을 받는다. 그 뒤 중하순에 고3 학생·고교 교직원 64만명(19∼30일)과 교육·보육 종사자 등 112만6천명(7월28∼8월7일) 등이 접종하고, 740만명이 넘는 대규모 인구집단인 50대 접종은 이달 말인 26일부터나 시작된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7월까지를 어떻게 잘 넘기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문제는 7월 중에 휴가철 인구 대이동과 밀폐된 실내에서의 밀접 접촉 등 코로나19 재확산의 기폭제가 될 위험 요인이 산적해 있다는 점이다. 정은경 방대본부장은 “7월은 여름휴가가 예정되어 있고 여름방학 등을 통해서 특히 젊은 사람들의 밀접한 활동들, 대면 활동들이 많이 증가할 것으로 우려한다”며 “수도권에는 숨은 감염자들이 많이 잠재되어 있고, 이런 사람들이 무증상 또는 경증 그리고 또는 발병 전에 전염을 시킬 수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정 본부장은 “최근에는 수도권에서도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확인되고 있어서,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사람 간 접촉이 많아지고 또 음주나 다양한 다중이용시설에서의 노출을 통해서 폭발적으로 유행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더욱이 델타 변이는 2차 접종까지 완료해야 예방 효과가 높아지는데, 아직은 국내 접종 완료자 비율은 9.8%(이날 0시 기준)에 그친다. 결국 고령층에 대한 2차 접종이 일단락되는 9월 중순까지는 ‘방역 대응’이 중요한 셈이다. 그러나 방역당국은 이날 1차 이상 접종자에 대해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를 공식적으로 해제해 외려 델타 변이 확산 여지를 넓히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날 방대본은 “1번 이상 접종하고 14일이 경과한 사람은 산책, 운동, 등산 물놀이, 관광 등 실외의 여가, 레저활동 시에는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더라도 과태료를 부과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다만, “실외라 하더라도 집회, 공연, 행사 등 다중이 모이는 경우는 마스크 착용이 의무”라는 단서를 달았다. 이에 대해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교수(감염내과)는 “한국처럼 인구 밀도가 높은 나라에서 다중이 모이는 곳과 다중이 모이지 않는 곳의 구분은 쉽지가 않다. 어떤 조건에서는 안 써도 된다고 정부가 제시하는 것부터 잘못됐다”고 짚었다.
정부는 이날부터 전국에서 시행하려다 한 주간 수도권에서는 적용을 유예한 새로운 거리두기에 대해 다음주 다시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손영래 반장은 “이번 주말까지 상황을 본 뒤 다음 주 월∼수(5∼7일) 각 지자체와 논의하고 다음 주 중후반까지 (새 거리두기 적용 여부 등을)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하얀 서혜미 기자
ch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