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 장애인 24명이 31일 오후 서울 중구 을지로1가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열린 ‘활동보조인 서비스 권리쟁취를 위한 전국총력결의대회’에서 삭발을 하고 있다. 이들은 18세 미만의 장애 어린이에 대한 활동보조 서비스를 제한하고 차상위 200% 이내 저소득층에게만 활동보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보건복지부의 활동보조지원사업 지침에 반발해 8일째 국가인권위원회를 점거한 채 단식농성을 벌이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활동보조 서비스 제한에 중증장애인들 삭발투쟁
‘차별에 저항하라’는 현수막 아래에서 휠체어를 탄 장애인들이 삭발을 했다. 잘린 머리카락은 ‘보건복지부’라고 적어넣은 관과 함께 불살랐다. 뒤틀린 몸을 이끌고 뼈를 저미는 추위 속으로 나선 이들은 “활동보조인 서비스 제한을 철폐하라”고 외쳤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31일 오후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중증 장애인 24명이 항의의 뜻으로 삭발을 했다. 이들은 보건복지부가 4월부터 활동보조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이용시간을 제한하고 장애인 본인에게 일부 비용을 분담시키는 것은 ‘기본권의 무시’로 보고 있다. (<한겨레> 1월16일치 13면 참조) 인권위 사무실 앞에서 8일째 단식농성을 하고 있는 최진영(35·여·뇌병변 1급)씨도 새파랗게 머리를 깎았다. 지난 24일부터 25명의 장애인들이 곡기를 끊었는데, 힘에 부쳐 8명이 실려나간 상태이다. 최씨는 힘겨워하면서도 “활동보조 서비스 한도가 한달 80시간으로 하루 3시간꼴”이라며 “씻고 나갈 채비를 하면 끝”이라고 비판했다. 단식농성을 하던 장애인들은 7명이나 삭발에 동참했다. 박경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공동집행위원장은 “보건복지부의 활동보조인서비스 제도 제한은 철폐돼야 한다”며 “이렇게까지 해도 고쳐지지 않는다면 단식농성을 계속 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