괌의 정글은 막대기로 거미줄을 걷어내지 않으면 걷기 힘들 정도로 거미가 많다. 사진=아이작 첼만, 플로스 원
거미 먹던 새 대부분 멸종, 거미 인근 섬보다 40배 폭증
괌은 대규모 생태 실험장…새 감소하는 세계적 현상에 교훈
괌은 대규모 생태 실험장…새 감소하는 세계적 현상에 교훈
▷ [물바람숲] 더 많은 기사 보러가기
레이철 카슨은 환경 고전 <침묵의 봄>에서 디디티 등 잔류성 화학물질을 남용했을 때 새들이 번식에 치명타를 입어 새가 울지 않는 봄이 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예언대로 침묵의 봄이 곳곳에서 실현됐지만 살충제보다는 서식지 파괴 때문이었다.
그런데 새로운 경고가 나왔다. 과학자들은 벌레를 잡아먹는 새들이 지금처럼 줄어들다간 거미가 지배하는 세상이 올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이 경고의 근거는 작은 실험실에서의 연구가 아니라 서태평양의 섬 괌에서 30여 년 동안 실제로 벌어지고 있는 일이다. 대규모 ‘자연 실험장’에서 새들이 생태계에서 어떤 구실을 하는지 처음으로 밝혀진 것이다.
미국 라이스 대학, 워싱턴 대학과 괌 대학 연구자들은 미국 공공 과학도서관이 발행하는 온라인 공개학술지 <플로스 원> 최근호에 실린 논문에서 괌에 외래종 뱀인 갈색나무뱀이 들어온 뒤 곤충을 먹는 새가 사라지자 이 새들의 먹이인 거미가 어떻게 늘어났는지를 조사한 결과를 밝혔다.
괌에는 1940년대 중반 미군 기지 화물을 통해 파푸아뉴기니 일대에 분포하고 괌에는 없던 갈색나무뱀이 우발적으로 유입돼 ㏊당 100마리까지 발견되는 등 급속히 팽창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 뱀은 1980년대에 이르러 벌레를 잡아먹는 토종 새들을 사실상 절멸시켰다.
연구진은 새들의 주요 먹이이던 거미의 분포실태를 아직 벌레잡이 새들이 살아있는 인근 섬 3곳과 비교해 봤다. 그랬더니 우기 동안 괌에는 인근 섬에서보다 거미줄의 밀도가 40배나 높았다. 괌에선 숲 속에서 10m를 갈 때 만나는 거미줄이 평균 18개였던데 비해 벌레를 먹는 새들이 많은 인근 섬에서는 0.45개였다. 생물활동이 줄어드는 건기에도 거미줄 밀도는 인근 섬보다 2.3배 높았다.
논문의 주 저자인 할더 로저 라이스 대학 박사는 “괌에선 막대기로 눈앞의 거미줄을 쳐 내지 않고는 정글을 나아갈 수 없을 정도”라고 이 대학 보도자료에서 밝혔다.
새가 사라진 진 30여 년 만에 거미의 개체수가 폭발했는데, 특히 새가 있었으면 맞춤한 먹이였을 덩치 큰 거미가 많이 늘어났다.
연구진은 이처럼 거미가 늘어난 이유는 무엇보다 새로 인한 포식의 감소이지만 이 밖에도 새와 거미가 함께 잡아먹던 곤충의 증가, 새들이 날면서 거미줄을 훼손하는 일이 줄어들면서 거미줄을 다시 치던 거미의 에너지 손실이 줄어든 점, 그리고 천적이 사라지자 거미가 더욱 큰 거미줄을 쳐 먹이를 더 잘 잡게 된 점 등을 들었다.
이번 연구는 포식동물이 사라졌을 때 대규모 공간에서 장기간 나타나는 영향을 조사했다는 의미를 지니며, 실제로 실험실에서 했던 과거의 연구에 견줘 생태계 영향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연구진은 논문에서 밝혔다. 실험실 연구가 현실을 과소평가했음이 드러난 것이다.
연구진은 또 “곤충을 먹는 새들이 감소하는 것이 세계적인 현상이어서 이번 연구 결과는 더욱 중요하다”며 “이대로라면 우리는 거미가 지배하는 세상에 살 것”이라고 강조했다.
괌에서 외래종 갈색나무뱀의 확산은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생태 재앙’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1980년대까지 이 섬에 살던 토종새 12종 가운데 10종이 멸종했고, 2종은 뱀 덫으로 보호하는 좁은 지역에서 근근이 살아남아 있다.
외래종 뱀은 생태계 교란뿐 아니라 인가에 침입해 정전사고를 일으키는 등 여러 부작용을 빚고 있다. 미국 정부는 해마다 100만 달러를 들여 이 뱀을 퇴치하느라 애쓰고 있으나 특별한 성과는 없는 형편이다(■ 관련기사: 뱀과의 전쟁, 공군까지 동원해 ‘쥐 폭탄’ 투하)
■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Rogers H, Hille Ris Lambers J, Miller R, Tewksbury JJ (2012) ‘Natural experiment’ Demonstrates Top-Down Control of Spiders by Birds on a Landscape Level. PLoS ONE 7(9): e43446. doi:10.1371/journal.pone.0043446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안창호 후보 아들, 부대 병장들보다도 휴가 더 썼다
■ 문재인, 현충원 참배 “사람이 먼저인 세상 만들겠다”
■ 산바 ‘매미’ 때처럼 피해 클라 ‘조마조마’
■ “아버지 이어 딸까지…대이은 인혁당 해코지”
■ 반미 시위 촉발시킨 동영상 제작자 “영화 만든 것 후회안해”
■ “아버지의 성폭행에도 전 더럽혀지지 않았어요”
■ [화보]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로 선출된 문재인
관광지로 유명한 괌의 해안. 이들은 '생태 재앙'이 벌어지고 있는 섬 안쪽 정글로 들어가지는 않는다. 사진=아이작 첼만, 플로스 원
인근 섬보다 40배나 밀도가 높은 괌의 거미줄. 사진=아이작 첼만, 플로스 원
괌의 갈색나무뱀. 사진=미국지질조사국(USGS), 위키미디어 코먼스
| |
■ 안창호 후보 아들, 부대 병장들보다도 휴가 더 썼다
■ 문재인, 현충원 참배 “사람이 먼저인 세상 만들겠다”
■ 산바 ‘매미’ 때처럼 피해 클라 ‘조마조마’
■ “아버지 이어 딸까지…대이은 인혁당 해코지”
■ 반미 시위 촉발시킨 동영상 제작자 “영화 만든 것 후회안해”
■ “아버지의 성폭행에도 전 더럽혀지지 않았어요”
■ [화보]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로 선출된 문재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