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환경

채석강 구겨진 퇴적층 비밀은 ‘거대 화산 칼데라 함몰’

등록 2016-03-29 20:36수정 2016-04-20 10:50

▲전북 부안군 격포리의 채석강은 ‘수만권의 책이 쌓인 것 같다’는 비유대로 퇴적층이 가지런히 쌓여 있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일부 지층은 구겨지고 휘어져 끊어진 모습이다. 평온한 호수에서 벌어진 극적인 사건의 흔적이다.  사진 곽윤섭 선임기자 kwak1027@hani.co.kr
▲전북 부안군 격포리의 채석강은 ‘수만권의 책이 쌓인 것 같다’는 비유대로 퇴적층이 가지런히 쌓여 있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일부 지층은 구겨지고 휘어져 끊어진 모습이다. 평온한 호수에서 벌어진 극적인 사건의 흔적이다. 사진 곽윤섭 선임기자 kwak1027@hani.co.kr
⑥ 고창·부안권-격포리
전북 고창과 부안의 지형은 독특하다. 너른 김제평야의 지평선이 서해바다로 사라지는 듯하다가 느닷없이 선운산도립공원과 변산반도국립공원으로 솟아오른다. 바다 쪽으로 더 나아가면 위도와 상왕등도가 삐죽 튀어나와 있다.

최근 권창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팀의 조사 결과 이런 지형의 뿌리가 이 일대에서 벌어진 중생대 백악기 화산활동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의 일본 규슈나 남아메리카 안데스산맥처럼 당시 이곳에는 백두산 규모의 화산들이 점점이 불을 뿜고 있었다. 화산의 불꽃이 사그라들고 암석으로 굳은 당시의 흔적은 오랜 세월 가차없는 풍화와 침식으로 대부분 사라졌다. 그러나 몇몇 극적인 사건의 기록이 남아 당시의 자연사를 엿볼 귀한 기회를 제공한다. 중생대 백악기 변산반도에는 거대한 화산이 활동했다. 수많은 분화구에서 화산재와 용암이 뿜어나왔다. 그 결과 변산반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최대 지름 20㎞의 타원형 화산암체가 아직까지 남아 있다.

강이라는 이름과 달리 바다지만
먼 옛날에는 강물 흘러드는 호수 

수만권 책 켜켜이 쌓아놓은 듯
퇴적물 쌓여 두께 300m 퇴적층

 

8900만년 전 고요하던 호수에 격변
백두산 규모의 거대 화산들 폭발
화산재와 용암 뿜어져 나와 요동 

퇴적층 일정 높이에서 심하게 변형
200m 길이로 연속해서 나타나
자연이 기록한 극적인 사건 흔적

화산재와 마그마 뒤섞여 ‘페퍼라이트’

▶적벽강에는 습기가 많은 퇴적층에 뜨거운 용암이 쏟아져 들어와 두 암석이 격렬하게 뒤섞인 사건이 표범 무늬의 페퍼라이트 지층으로 남아 있다.   사진 곽윤섭 선임기자 kwak1027@hani.co.kr
▶적벽강에는 습기가 많은 퇴적층에 뜨거운 용암이 쏟아져 들어와 두 암석이 격렬하게 뒤섞인 사건이 표범 무늬의 페퍼라이트 지층으로 남아 있다. 사진 곽윤섭 선임기자 kwak1027@hani.co.kr
23일 전북도가 지질공원 후보지의 하나로 꼽는 부안군 변산면 모항을 찾았다. 이곳에는 분화구에서 쏟아져 내린 300~500도에 이르는 뜨거운 가스와 화산재, 암석 조각이 쌓여 굳은 응회암층이 있다. 동행한 권창우 박사는 “점성이 높은 마그마가 분출할 때 마그마 방 상부에 모여 있던 화산가스가 마치 흔든 사이다병에서 탄산가스가 뿜어나오는 것처럼 폭발하면서 부석이 섞인 응회암이 생겼다”고 설명했다.

모항 해변에 들어서면 언덕의 회색 응회암과 그 사이를 뚫고 올라온 마그마가 굳은 검은 안산암맥이 대조를 이룬다. 8900만년 전 이곳에서 놀라운 일이 벌어졌다. 미처 굳지 않은 응회암을 마그마가 뚫고 나오면서 화산재와 마그마가 뒤섞여 굳은 독특한 암석을 형성했다. 권 박사는 “화산재와 가스, 부석 등이 섞인 화쇄밀도류는 고온이어서 땅에 쌓인 뒤 10년 뒤에도 땅속에서 200~300도를 유지하는데, 이런 상황에서 뜨거운 마그마가 화산쇄설물 안으로 들어오면서 두 암석이 뒤섞인 ‘페퍼라이트’라는 특이한 상태를 이룬 것으로 보인다”며 “장구한 세월을 다루는 지질학에서 이처럼 한순간에 벌어진 사건이 흔적으로 남는 일은 드물다”고 말했다.

변산반도에는 시기별로 9가지 유형의 화산암이 쌓여 있다. 때로는 폭발하고 때로는 분출한 용암이 흘렀다. 모항에 화산재를 쌓은 화산활동 직후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보려면 해안을 따라 5㎞쯤 북서쪽으로 떨어진 격포항에 가면 된다. 이 일대에는 유명한 관광지인 채석강을 비롯해 적벽강과 봉화봉 해안 등에 당시 쌓인 퇴적층이 잘 드러나 있다.

사관이 글로 쓰듯 자연이 암석에 기록

채석강은 강이란 이름과 달리 바다이지만, 실은 먼 옛날 강물이 흘러드는 호수의 바닥에서 퇴적물이 켜켜이 쌓여 형성됐다. 해안 절벽에는 ‘수만 권의 책을 쌓아놓았다’는 말대로 당시 벌어진 자연사의 기록이 오롯이 담겨 있다. 최덕근 서울대 명예교수의 말처럼 “마치 사관이 자신이 살던 시대의 역사를 글로 기록하듯이 자연은 자신의 활동을 암석 속에 차곡차곡 기록해 놓았다”(<한반도 형성사>).

두께가 약 300m인 격포리 퇴적층은 모항에 응회암을 남긴 8900만년 전의 분화 이후 부안 화산암체 서쪽 가장자리에 발달한 호수에서 오랫동안 퇴적물이 가지런히 쌓여 만들어졌다.

격포리의 호수가 늘 평화로웠던 건 아니다. 격포항에서 해안으로 향하는 나무데크 위에서 닭이봉의 퇴적층을 바라보면, 바로 눈높이에서 예사롭지 않은 형태의 지층을 발견할 수 있다. 수평으로 가지런히 쌓이던 퇴적층이 어느 높이에서 심하게 구겨지고 일부가 접히거나 끊어진 모습을 보인다. 최대 2m 두께의 이암층과 1.5m 높이의 역암층에서 이런 변형이 나타난다. 200m 길이로 연속해서 나타나는 두 변형층 사이에는 정상적인 퇴적층이 얇게 끼어 있다. 백악기 격포리 호수에선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

적벽강 표범 무늬 암석도 ‘사건’ 증언

이런 변형구조가 형성되려면 퇴적층이 미처 굳기 전에 외부 충격을 받아야 한다. 지금까지는 압축에 의한 단층운동이나 지진을 원인으로 꼽았다. 그러나 권 박사팀은 최근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내놨다. 요약하면 이렇다. 지진에 의한 변형은 수㎝에서 수m 규모를 넘을 수 없다. 하지만 이런 긴 변형구조가 생기려면 큰 규모의 사태가 발생해야 한다. 아직 굳지 않은 퇴적층이 경사각이 1도 이하인 사면을 따라 느리게 움직이면서, 마치 꿀이 사면을 흐르듯 층이 나뉘면서 교란을 일으켰다.

이 경사를 일으킨 힘은 백두산 천지를 형성시킨 것과 같은 칼데라 함몰이었다. 대규모 화산폭발을 일으킨 뒤 빈 마그마방이 중력으로 무너져 내리면, 그 충격으로 주변 지층에 단층이 생겨 화도 쪽으로 기울게 마련이다. 격포리 퇴적층이 분지의 중심인 북쪽을 향해 기운 반면 변형구조는 화산의 중심이 있는 동쪽으로 향하고 있는 것은 이런 변형의 원인이 화산활동과 관련 있음을 보인다는 것이다. 격포리 퇴적층 안에는 이런 변형을 일으킨 사건이 여럿 기록되어 있다.

격포리 옛 호수에서 벌어진 마지막 극적인 사건은 적벽강에서 볼 수 있다. 바닷가로 내려가자마자 검은 바탕에 노란 암석 조각이 박혀 표범 무늬처럼 보이는 흔치 않은 암석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호수의 얕은 곳에 점성이 큰 용암이 분출해 흘렀다. 뜨거운 용암이 수분을 많이 포함한 차가운 굳지 않은 점토와 모래를 만나자 물이 끓어오르고 폭발적으로 뒤섞였다. 해안 절벽의 주상절리에 한눈을 팔다가는 놓치기 쉬운 자연사의 드문 볼거리다.

부안/글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공동기획: <한겨레>, 대한지질학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가지질공원사무국, 한국지구과학교사협의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지금 당장 기후 행동”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공수처 차량 파손하고 ‘난동’…윤석열 지지자들 ‘무법천지’ [영상] 1.

공수처 차량 파손하고 ‘난동’…윤석열 지지자들 ‘무법천지’ [영상]

윤석열,구치소 복귀…변호인단 “좋은 결과 기대” 2.

윤석열,구치소 복귀…변호인단 “좋은 결과 기대”

윤석열, 구속영장 심사서 40분 발언…3시간 공방, 휴정 뒤 재개 3.

윤석열, 구속영장 심사서 40분 발언…3시간 공방, 휴정 뒤 재개

공수처 직원 위협하고, 차량 타이어에 구멍…“강력 처벌 요청” 4.

공수처 직원 위협하고, 차량 타이어에 구멍…“강력 처벌 요청”

윤석열 지지자 17명 현장 체포…서부지법 담 넘어 난입 5.

윤석열 지지자 17명 현장 체포…서부지법 담 넘어 난입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