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철저한 반핵론자라도
원전 전기만 가려 안 쓸 순 없다 하지만 방법은 있다
녹색전기 사용 약정하면
추가 지불한 돈
‘유기농 전기’ 생산·보급에 투자
핵쓰레기·온실가스 줄여 8년전 이미 구체 시행 방안까지
한국전기연구원, 산업부에 보고서
정부는 10년째 ‘검토 중’만 국내에서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로 녹색전기를 생산하는 데는 원자력이나 화석연료로 같은 양의 전기를 생산할 때보다 많은 비용이 든다. 하지만 한국전력의 전기 판매는 발전원을 고려하지 않은 단일 가격으로 이뤄진다. 녹색전기를 실제 생산비에 견줘 싼 가격에 파는 것이다. 녹색가격제도가 시행되면 원하는 소비자들은 자신이 사용하는 전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일반 전기보다 비싼 녹색전기 생산에 들어가는 비용을 내고 살 수 있다. 이들이 추가 지불한 돈은 재생에너지 생산과 보급에 투자돼 원자력이나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이는 데 사용된다. 에너지양으로는 동일한 전력을 자발적으로 더 비싼 금액을 치르면서 이들이 사는 것은 미래 세대에게 짐이 되는 핵쓰레기를 줄이고 기후변화의 원인인 지구 대기의 온실가스 농도 증가를 막는 데 참여한다는 자부심이다. 이를 위해 녹색가격제도를 시행하는 나라들에서는 녹색전기 요금 고지서를 일반 전기요금 고지서와 색깔을 다르게 하거나, 녹색전기 라벨을 제작해 녹색전기를 쓰는 집에 붙여주기도 한다. 녹색가격제는 국내에서 도입 논의가 본격 시작된 지 10년이 넘지만 관련 정부 부처 안에서는 계속 공식적으로는 ‘검토 중’인 상태에 머물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 신재생에너지과 최보선 서기관은 “녹색가격제와 관련해 아무것도 정해진 바는 없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검토는 이미 충분히 이뤄졌고 이제는 결정만 남았다고 말한다. 이미 2007년에 당시 산업자원부에 제출된 한국전기연구원의 제도기반 구축 연구 용역 보고서에 녹색가격제도를 전기사용량과 무관한 기부금 형식으로 내게 하는 것에서 시작해 전기사용량에 따라 전기요금과 함께 내는 수준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방식으로 2009년부터 시행한다는 시행 일정까지 제시됐을 정도다. 이 연구 책임자였던 조기선 한국전기연구원 전력정책연구센터장은 지난 12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한국 신·재생에너지학회와 기후변화센터가 공동 주최한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한 녹색가격제도 도입 방안 정책세미나’에서 “녹색가격제도는 노무현 대통령의 공약 사항이어서 임기 마지막 해에 방안을 수립해 놨는데, 정권이 바뀌면서 시행이 안 되고 묻혔다. 준비가 많이 돼 있어 사실 언제 시행하느냐 하는 시점을 결정할 일만 남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조 센터장은 “정부 안에 관심들은 있었지만 자발적인 참여로 이뤄진다손 치더라도 결국 전기요금이 인상되는 형태가 된다는 점과 현재 송배전·판매만 허용되는 한전이 전기요금 형태로 확보된 재원을 가지고 발전사업 참여도 가능할 수 있어 전력산업 구조의 틀이 깨질 수 있다는 것에 부담을 느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각 나라 국민들의 지불의사액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