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25일 오후 제주 성산읍 ‘아쿠아플라넷 제주‘ 지하 1층 초대형 수조에서 헤엄을 치고 있는 고래상어. 제주해경은 아쿠아플라넷 제주가 고래상어를 입수한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한겨레21 김성환
수족관 쪽 “2마리 중 1마리 폐사…
멸종위기 생물 관심 고려해 결정”
멸종위기 생물 관심 고려해 결정”
지난달 제주 앞바다에서 잡혀 서귀포시 성산읍 섭지코지 아쿠아플라넷 제주의 수족관에 갇혔던 고래상어가 바다로 돌아간다.
아쿠아플라넷 제주는 22일 “다양한 수생생물을 더 가까운 곳에서 관람하고 자연에 대한 감동을 느낄 수 있도록 오랜 시간 준비했으나, 고래상어의 폐사와 관련해 국민 여러분께 염려를 끼친 것에 대해 송구하다”며 “멸종위기 생물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반영해 이달 안에 남아 있는 고래상어의 무조건 방사 방침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방사하기로 한 고래상어는 지난달 수족관에 들어온 고래상어 2마리 가운데 살아남은 1마리(‘파랑’)다. 길이 4.5m, 몸무게 600~650㎏이다. 정확한 방사 시기와 장소는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등과 협의를 거쳐 결정할 계획이다.
수족관에 전시했던 고래상어 1마리(‘해랑’)는 지난 1일 이후 먹이를 먹지 않는 등 이상징후를 보인 뒤 지난 18일 오전 5시께 폐사했다. 이 고래상어는 길이 4.9m, 몸무게 700㎏이다.
이들 고래상어는 아쿠아플라넷 제주의 개관을 엿새 앞둔 지난 7월7·8일 애월읍 하귀리 앞바다에서 어민이 쳐놓은 정치망에 잡혀 ‘기적의 고래상어’로 불렸으며, 아쿠아플라넷에 기증됐다. 해경은 고래상어가 붙잡힌 시기와 기증 경위 등에 누리꾼들의 문제제기가 잇따르자 내사를 벌였으나 범죄 혐의점을 찾지 못해 내사를 끝낸 바 있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남방큰돌고래를 지키는 모임인 핫핑크돌핀스 등 환경 및 동물보호단체들은 “고래상어가 수족관에 갇힌 뒤 스트레스를 받아 폐사했을 수 있다”며 “나머지 1마리를 바다로 돌려보내라”고 요구해왔다.
제주/글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사진 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나 혼자 죽기 억울했다”…자포자기형 분노 범죄
■ 위안부 박물관에 ‘다케시마는 일본땅’ 또 말뚝테러
■ 재계약 때 4천만원 더 줘야…세입자들 전셋값 폭탄에 속앓이
■ 누리꾼 “MB, 빚도 기부하다니…” 조롱
■ 영 왕실 “해리 왕자 누드파티 사진은 진짜”
■ ‘왕따 논란’ 티아라 은정 드라마 하차, 후임은…
■ [화보] 기성용 보려고 아침부터 기다렸는데…
■ “나 혼자 죽기 억울했다”…자포자기형 분노 범죄
■ 위안부 박물관에 ‘다케시마는 일본땅’ 또 말뚝테러
■ 재계약 때 4천만원 더 줘야…세입자들 전셋값 폭탄에 속앓이
■ 누리꾼 “MB, 빚도 기부하다니…” 조롱
■ 영 왕실 “해리 왕자 누드파티 사진은 진짜”
■ ‘왕따 논란’ 티아라 은정 드라마 하차, 후임은…
■ [화보] 기성용 보려고 아침부터 기다렸는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