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산성 질수 함유량 조작…수주 경쟁이 조작 부추겨
지하수 개발업체와 유착된 수질검사 기관의 수질검사 조작으로 어린이집과 초등학교 등에서 질산성 질소에 오염된 지하수가 식수로 사용된 사실이 검찰 수사로 드러났다.
질산성 질소 함유량 조작=ㅈ환경연구소는 지난해 12월 ㅎ개발이 경기 여주군에서 개발하는 지하수 수질을 검사했다. 질산성 질소 함유량이 기준치인 10ppm을 넘어 39.7ppm으로 나왔다. 그러자 이 연구소 조아무개(64·구속) 대표는 담당 직원에게 “적합으로 수정하라”고 지시했다. 직원들은 질산성 질소 함유랑 수치를 0.6ppm으로 조작해 ㅎ개발에 건넸다.
ㅇ환경생명연구원은 수질측정 컴퓨터 분석기로 나온 그래프 곡선을 조작해 질산성 질소가 낮게 나오도록 하는 등 시험 수치를 조작하는 수법으로 787건의 거짓 시험성적서를 발급해 줬다. ㅁ과학기술연구원은 수질검사를 할 시료가 없는데도 다른 지하수의 수질검사 결과를 적어 넣었다. 지하수 시료는 공무원이 직접 채취해 봉인한 뒤 지하수 업체에 건네야 하는데, 담당 공무원은 지하수 채취 현장에 나가지도 않은 채 나간 것처럼 문서를 꾸미기도 했다. 이 연구원은 또 질산성 질소가 나오지 않는 수돗물로 검사를 하기도 했다.
“수질검사 수주 경쟁이 조작 부추겨”=검찰은 수질검사기관들의 ‘수주 경쟁’이 수질 조작을 부추긴 것으로 보고 있다. 김종로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장은 “서울의 유명 ㄱ대학 연구센터도 수질검사 수주 영업팀을 따로 둬 자신들한테 수질검사를 받도록 수주 활동을 할 정도”라며 “한번 수질검사를 하게 되면 이후 계속 정기검사 등을 하면서 한차례 검사비로 25만~28만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고객’인 지하수 개발업체의 요구를 들어줬다”고 밝혔다.
지하수 개발업체는 수질검사 부적합 판정을 받으면 지하수 구멍을 막아야 하고, 다른 곳에서 찾아야 한다. 수백만~1천만원에 이르는 지하수 개발 비용을 줄이려 수치 조작을 부탁했다는 게 검찰의 설명이다. 김 부장은 “일부 마을과 학교는 수도가 없어 지하수를 개발할 수밖에 없다”며 “이들은 질산성 질소의 수치가 조작된 것도 모르고 식수로 사용했다”고 말했다.
관리 감독도 부실=민간 수질검사 기관들은 국립환경과학원장이 지정하고, 과학원이 3년에 한차례 이상 지도점검을 하도록 돼 있지만 수질검사 기관을 감독하는 인원은 겨우 2명이다. 더욱이 지정·감독 업무를 맡은 박아무개 과장은 ㅈ환경연구소 쪽으로부터 “감사 때 편의를 봐 달라”는 청탁과 함께 매달 100만원~200만원을 받은 것으로 검찰 수사결과 드러났다.
박희정 환경부 상하수도국장은 “수질검사를 해야 할 대상이 너무 많아 국가기관만으로 역부족이어서 민간기관을 검사기관으로 지정할 수밖에 없다”며 “질산성 질소의 수치 조작이 교묘하게 이뤄져 일반적인 점검만으로는 발견하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과학원이 맡아온 수질검사 기관 지정·감독 업무를 각 지방환경청으로 넘기고, 앞으로 1년마다 수질검사 기관을 점검하기로 했다.황상철 기자 rosebud@hani.co.kr
지하수 수질검사 기관의 수질검사 수치 조작 검찰수사 결과가 발표된 20일 수질검사기관한테서 엉터리 검사 결과를 통보받은 경기도 평택의 한 어린이집 지하수 관정을 한 관계자가 가리키고 있다. 평택/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