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환경

전기차 수명 다한 폐배터리…가로등, 선박, 휠체어로 재탄생

등록 2022-10-26 08:00수정 2022-10-26 08:35

제주 ‘전기차 폐배터리’ 재사용센터에 가보니
14일 제주테크노파크 전기차배터리산업화센터에 전기차에 사용됐던 배터리팩이 보관돼 있다. 김윤주 기자
14일 제주테크노파크 전기차배터리산업화센터에 전기차에 사용됐던 배터리팩이 보관돼 있다. 김윤주 기자

지난 달 기준 전국의 전기차 등록대수는 34만7395대다.(국토교통부 통계누리) 이 중 제주도에서의 등록대수는 2만9556대(8.5%)다. 경기(19.6%), 서울(15.5%)에 이어 세 번째로 등록대수가 많은 제주도는 전기차에서 나오는 폐배터리 활용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지난 14일 제주시 아라동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에 자리잡은 전기차배터리산업화센터에는 전기차에서 사용됐던 폐배터리팩이 한쪽 벽면을 가득 채운 채 빼곡히 쌓여있었다. 이날 센터의 배터리 적재실에 보관돼 있는 폐배터리는 300여개 정도였다. 센터는 제주테크노파크가 2019년부터 운영 중이다. “저희가 수거한 전기차 폐배터리를 기업에 저가에 공급해주면, 기업은 배터리를 활용해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김형진 제주테크노파크 에너지융합센터 성능평가팀장은 센터의 역할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센터는 폐차한 전기차에서 나온 배터리가 새로운 제품에 다시 쓰일 수 있도록 돕는다. 폐배터리는 자동차용으로는 수명을 다했더라도, 아직 70~80%의 효율을 유지하고 있어 가능한 일이다.

전기차 폐배터리를 재사용하면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전기차는 친환경차로 분류되지만, 전기차 폐배터리는 산화코발트, 리튬, 망간, 니켈 등을 함유하고 있어 그대로 폐기했다가는 환경이 오염된다. 전기차 보급이 늘면서 폐배터리도 더 많이 생기는 만큼 이를 활용할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환경부는 전기차 폐배터리가 2020년 275개에서 2025년 3만1700개, 2030년에는 10만7500개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김 팀장은 “제주에는 반납 의무가 남아있는 차량이 2만1천대가량 있어 2030년까지 회수될 것으로 보인다. 전체가 회수된다면 용량이 600㎿h 수준인데, 제주도 전체 전력 하루 분량”이라고 설명했다. 보조금 수혜 전기차는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차량을 말소할 때 지방자치단체장에게 배터리를 반납할 의무가 있었지만, 지난해 1월 법이 개정되면서 현재는 반납 의무가 사라진 상태다.

이날 오후 4시께 제주 기온은 약 20도였는데, 배터리가 보관된 실내도 온도도 비슷했다. 김 팀장은 “배터리는 온도와 습도에 예민해 이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다. 통상 배터리를 보관하기 적절한 온도는 20~25도 사이, 습도는 60% 수준까지 괜찮다고 보지만 좀 더 건조하게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제주테크노파크 전기차배터리산업화센터 내 모듈 검사 준비장. 김윤주 기자
제주테크노파크 전기차배터리산업화센터 내 모듈 검사 준비장. 김윤주 기자

센터에서 폐배터리팩은 더 작은 단위로 분해된다. 배터리는 셀(배터리의 최소 단위), 모듈, 팩 순서로 구성돼 팩 형태로 전기차에 탑재된다. 센터에서는 이를 역순으로 분해해서 검사한다. 우선 배터리팩의 외형을 검사해 사고 차량에 탑재된 폐배터리팩 등 크게 손상된 폐배터리팩은 제외한다. 이후 폐배터리팩의 남은 용량 등 성능을 72시간가량 검사해 배터리팩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은 바로 기업에 보내고, 그렇지 않은 제품은 모듈 형태로 쪼개 72시간가량 더 검사한다.

검사를 거친 배터리는 센터에서 직접 연구 등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필요로 하는 기업에 보낸다. 센터에 있는 전기차 충전소에도 200㎾h급 에너지저장장치(ESS)가 설치돼 있는데, 르노코리아 SM3에서 나온 폐배터리팩을 사용했다. 폐배터리는 태양광연계 가로등, 전기선박, 개인형 이동장치, 농업용 운송기기, 전동휠체어 등으로도 새로 태어난다.

이러한 폐배터리 산업화 센터는 제주외에도 나주, 포항, 울산에도 있다. 또 일부 민간 기업에서도 실증 특례를 받아 전기차 폐배터리 재사용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이달 11일 국무회의에서 전기차 폐배터리 안전성 검사 제도 등을 담은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일부 개정안이 의결되면서 폐배터리 재사용 관련 법적 근거도 강화될 전망이다. 김 팀장은 “이번 개정안 의결을 시작으로 시행령 등을 통해 전기차 폐배터리 재사용 상용화를 위한 제도가 갖춰질 것으로 기대한다. 전기차 폐배터리를 재사용하려는 센터와 민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제주/김윤주 기자 ky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지금 당장 기후 행동”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내란 나비’ 김흥국, 무면허 운전 벌금 100만원…음주·뺑소니 전력 1.

‘내란 나비’ 김흥국, 무면허 운전 벌금 100만원…음주·뺑소니 전력

[속보] 서부지법 방화 시도 ‘투블럭남’ 10대였다…구속 기로 2.

[속보] 서부지법 방화 시도 ‘투블럭남’ 10대였다…구속 기로

[단독] 경찰 ‘전광훈 전담팀’ 꾸렸다…법원 난입 연관성 수사 3.

[단독] 경찰 ‘전광훈 전담팀’ 꾸렸다…법원 난입 연관성 수사

고향가는 길 어쩌나...27일 월요일 대설특보 가능성 4.

고향가는 길 어쩌나...27일 월요일 대설특보 가능성

[속보] 경찰, ‘윤석열 체포 저지’ 김성훈·이광우 구속영장 재신청 5.

[속보] 경찰, ‘윤석열 체포 저지’ 김성훈·이광우 구속영장 재신청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