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한 광역단체 의회 앞에 수소 승용차, 수소버스, 수소 화물차가 전시돼 있다. 연합뉴스
부산시의 시내버스와 통근버스 1000여대가 2025년까지 수소버스로 전환된다.
환경부와 부산시 등은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 지원을 위한 수소경제 생태계 조성 업무협약’을 19일 부산시청에서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수송, 산업, 항만 분야의 상호협력으로 부산시의 수소경제 생태계를 조성해, 2030년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추진됐다. 이번 협약에는 부산항만공사, 에스케이 이엔에스(E&S), 현대자동차, 부산테크노파크, 부산광역시버스운송조합도 참여했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2025년까지 지역 내 경유와 압축천연가스(CNG)를 사용하는 시내 및 통근 버스 약 1000대를 수소버스로 전환하기로 했다. 수소버스 1대당 국가보조금은 내년부터 국비 2억1000만원과 지방비 9000만원이 지원된다.
또한, 부산시는 버스 차고지와 항만 지역을 중심으로 액화수소 충전소 10곳을 2025년까지 설치하고, 항만 지역을 주로 운행하는 대형트럭(경유)을 수소차로 전환하는 계획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2030년까지 수소전문기업 10곳을 육성해 지역 내 수소 생태계를 조성하기로 했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 지원의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