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15일 지리산에서 찾은 고사한 구상나무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한반도 고산지대 침엽수들의 집단 고사가 가속화되자 산림청이 이들 침엽수의 멸종을 막기 위해 복원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절멸을 막기 위한 후계림을 조성한다.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산림청이 점검한 결과를 보면, 이 기간 전국의 구상나무 숲은 약 33%, 분비나무 숲은 약 31%, 가문비나무 숲은 약 40% 씩 전체 평균 약 32%의 쇠퇴도를 나타냈다. 2년 전 조사에서 나타난 평균 쇠퇴도인 25% 대비 약 6%p 증가했다.
이에 산림청은 19일 내년부터 2026년까지 수행할 ‘제2차 멸종위기 고산 침엽수 보전·복원 대책’으로 복원 가이드라인 개발, 현지 내·외 보전 사업 본격화, 현장 점검 고도화, 연구·협력 활성화 계획 등을 발표했다. 산림청은 2016년부터 구상나무,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주목, 눈잣나무, 눈측백, 눈향나무 등을 중점 보전대상으로 정하고 관련 대책을 내놓고 있다. 1차 대책을 통해선 2년 주기의 현장 점검 체계를 도입하고 자생지 외 보존원을 조성했는데, 이번에는 당시 마련한 기반을 바탕으로 본격적인 보전 사업을 추진한다.
우선 침엽수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현재 전국 산림에 413개 설치된 산악기상관측망을 2026년까지 640개로 확충해 산림 생태계를 상시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다. 또 서식지 환경을 정밀 조사해 고산지대 침엽수들의 쇠퇴 원인에 대한 가설을 검증할 예정이다.
한편, 환경단체에서는 고산지대 침엽수 고사로 산사태 위험까지 커지고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지난 18일 녹색연합은 “올해 산사태 현장을 점검한 결과 지리산, 오대산, 설악산 등의 산사태 발생지역 중 능선부 대부분이 구상나무,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집단고사 지역과 일치했다”고 밝혔다. 녹색연합은 고산지대 침엽수 고사로 뿌리의 토양 응집력이 사라지고 들뜨게 되면서 그 아래로 강우가 유입되어 산사태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했다.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