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 대치동 포스코센터. <한겨레> 자료사진
5일 환경부 국정감사에서는 국내 최대 온실가스 배출 기업인 포스코를 포함한 산업계가 온실가스 감축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는 질책이 이어졌다. 증인으로 불려온 박현 포스코 전무는 “2030년대 중반부터는 수소환원제철로 생산 방식을 변경하겠다”고 밝혔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가 이날 환경부 세종청사에서 진행한 환경부 국정감사에서는 포스코 등 기업들의 온실가스 저감 대책이 2050년 탄소중립 목표에 비해 부족하다는 비판이 나왔다.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해 기업별 탄소배출 현황을 보면 포스코가 7567만톤으로 1위”라며 “2050년 탄소중립 목표는 포스코가 배출하는 엄청냔 양을 저감하지 않고서는 달성하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강은미 정의당 의원은 “대기오염 물질 1~20위 기업을 보면 2019년 1위, 3위가 포스코의 광양과 포항제철소”라며 “왜 이렇게 진행이 안 되냐”고 물었다.
박 전무는 이에 “(포스코는) 2050 탄소중립을 작년 12월에 선언했다. 중간목표로 2040년까지 50%를 감축하고 30년까지는 사업장 감축을 최대 10%, 저탄소 제품을 통해 추가로 10% (온실가스를) 감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사회 차원의 논의도 거치고 여러 감축 기술을 검토 중”이라며 “전 세계적으로 가용한 기술은 모두 다 반영을 했고 혁신기술이나 국가적 인프라가 필요한 CCUS(탄소포집·저장·활용)기술까지 고려했다”고 말했다.
박 전무는 철광석을 녹이는 연료로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하는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도입할 계획도 밝혔다. 박 전무는 “(수소환원제철 설비를) 2028년까지 건설해서 2030년까지 테스트를 할 것”이라며 “기술적인 보완이 필요해 2030년대 중반부터는 고로 수명과 수소 공급 여건을 고려해 수소환원제철로 변경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에 대해서도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지 못한 데다 기업 차원의 감축 계획을 밝히지 않는 등 탄소중립 정책에 역행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송 의원은 “삼성전자는 지난해 자료에 따르면 (온실가스) 1253만톤을 배출해서 산업계에서는 3위”라며 “삼성에서는 공식적으로 발표한 온실가스 저감 계획도 없다”고 비판했다.
이날 증인으로 출석한 박찬훈 삼성전자 부사장은 이에 대해 “삼성전자의 경우 현재까지 검토 단계이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말씀을 못 드린다”며 “국가 정책에 발맞춰 적극적으로 목표를 수립하겠다”고 답했다. 하지만 온실가스 저감 계획의 수립 일정과 시기에 대해선 확답을 하지 않았다.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