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브라우저 ‘파이어폭스’의 로고. 모질라재단 제공
오픈소스 웹 브라우저 ‘파이어폭스’가 곧 인터넷상의 개인정보 추적 차단을 기본값(디폴트)으로 적용한다고 개발단체인
모질라재단이 30일 밝혔다. 인터넷을 서핑하다 보면 당사자는 잘 모르지만 광고기업을 비롯한 각종 조직이 사용자의 인터넷 사용기록을 추적한다. 자신의 관심사를 귀신같이 알고 관련 광고가 배너로 뜨거나, 인터넷 브라우징 속도가 크게 느려진 경우 이런 추적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관련 전문지식이 없으면 이를 차단하기 어렵다. 모질라재단의 계획은 사용자가 특별한 조처를 하지 않아도 웹 브라우저가 이를 기본 차단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다수가 쓰는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나 구글 ‘크롬’과 같은 웹 브라우저의 경우 아직 이런 설정을 기본으로 제공하지 않는다.
도입 정책은 셋이다. 첫째 웹 이용 속도를 늦추는 사용 추적을 기본 차단한다. 광고 차단 앱 개발업체 ‘고스터리’(Ghostery)에 의하면
페이지 로딩에 걸리는 시간 가운데 55.4%는 이런 제삼자 업체(서드파티)가 몰래 사용자를 추적하느라 걸리는 시간이다. 모질라재단은 오는 9월에 테스트를 거쳐서 파이어폭스 63 버전부터 이런 추적 차단을 기본값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둘째는 사이트 교차 추적(corss-site tracking) 차단이다. 현실 세계에서 우리가 ㄱ가게를 들렀다가 ㄴ가게를 가며 쇼핑하러 다니면 ㄱ가게 점원이 ㄴ가게까지 쫓아오지 않는다. 하지만 인터넷은 다르다. 일부 사이트의 경우 한번 들리면 브라우저에 쿠키라는 컴퓨터 코드를 남겨서 우리가 어디를 다니는지 붙어 다니게 된다. 이는 이용자 프라이버시에 대한 심각한 위험이다. 모질라재단은 파이어폭스 65부터 이런 추적을 기본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끝으로 이 밖에 이용자 기만적인 기법의 차단이다. 예를 들어 어떤 서비스는 자신의 마음대로 사용자 기기에 특별한 식별자를 낙인 찍은 뒤에 은밀하게 이용을 분석한다. 모질라재단은 앞서 두 가지 차단을 도입한 뒤, 이런 기법에 대한 차단책도 개발하겠다는 방침이다.
모질라재단의 이런 조처는 미국 국토안보부(NSA)의 인터넷 대량 감시나 페이스북의 개인정보 유출 스캔들과 같은 프라이버시 위협 사건이 계속 드러나면서 점차 높아지는 사용자의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