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인환 ‘자기냉각 액화물질 융합연구단’ 단장이 프로토타입으로 만들고 있는 5ℓ짜리 액화수소 저장용기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미래과학의 산실
융합연구 현장을 가다 ③
융합연구 현장을 가다 ③
저장·운반에 드는 비용 막대
키스트 ‘자기냉각 액화물질 연구단’
액체로 만드는 저장기술 연구
생산비용 낮추고 효율 높이기 박차 제러미 리프킨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교수는 2002년 저서 <수소경제>를 통해 2020년이면 세계 석유생산이 하락하고 그 대안으로 수소 에너지가 대세를 이룰 것이라 예견하며 이른바 ‘수소경제’를 주창했다. 우리나라 정부도 2005년 ‘수소경제마스터플랜’을 발표해 2040년까지 최종 소비에너지 가운데 수소에너지 비중을 15%로 높이기로 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수소를 만드는 데 들어가는 에너지를 고려하면 수소는 에너지원이 아니라 ‘에너지를 저장하고 이용하는 운반체’에 불과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보든, 단순한 ‘에너지 운반 기술’로 보든 탈화석연료 시대에 수소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운반하는 기술은 확보해야 할 최우선 과제로 꼽힌다. 수소는 물을 분해하면 쉽게 얻을 수 있는 기체이지만 워낙 가벼워서 고압으로 압축하거나 액화시켜 사용해야 해 에너지 값보다 저장과 운반 비용이 훨씬 더 클 수밖에 없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키스트) 안에 둥지를 튼 ‘자기냉각 액화물질 융합연구단’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외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대고 있다. 연구단은 수소를 액화시켜 사용하는 것이 고압으로 압축해 사용하는 것보다 2.8배 에너지효율이 높은 것으로 보고 수소를 액화해 저장하고 운반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오인환 융합연구단 단장은 “선진국에서는 우주로켓용이나 수소자동차용으로 극저온 액화기, 저장용기, 펌프, 수송차량 등을 상용화하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일부 기업이 액화질소나 액화산소를 제조하는 정도의 기술수준을 보유하고 있을 뿐 수소를 액화하는 기술조차 확보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수소를 액체로 만드는 이유는 다른 저장방식보다 에너지 밀도가 크기 때문이다. 에너지 밀도는 연료 안에 수소원자가 얼마나 조밀하게 저장돼 있는지를 나타낸다. 무게당 에너지 밀도는 액체수소가 22MJ(메가줄)/㎏인 데 비해 금속수소화물(메탈 하이드라이드)은 1.7MJ/㎏, 고압수소는 4.8MJ/㎏에 불과하다. 부피당 밀도도 액체수소는 7.8MJ/ℓ이지만 금속수소화물은 4.4MJ/ℓ, 고압수소는 2.5MJ/ℓ에 지나지 않는다. 수송비용에서도 차이가 있다. 액체수소는 생산과 이송에 들어가는 총 비용이 1㎏당 3.66달러인데 파이프라인을 이용하면 5달러, 대형 튜브 트레일러는 4.39달러나 든다. 특히 생산비용은 액체수소가 2배 이상 높지만 이송비용은 파이프라인과 튜브 트레일러가 각각 2.94달러, 2.09달러인 데 비해 액체수소는 0.18달러밖에 되지 않는다. 생산비용을 낮추면 수소를 액체로 만들어 보급하는 것이 훨씬 경제적이라는 얘기다. 수소 액화 작업의 1단계는 ‘오르토 수소’를 ‘파라 수소’로 바꾸는 일이다. 상온에서는 2개의 분자가 한방향으로 자전운동(스핀 운동)을 하는 오르토 수소가 75%, 반대방향의 스핀을 가진 파라 수소가 25%를 차지하지만, 절대온도 20K(영하 253도·절대온도 0도는 영하 273.15도)에서는 ‘파라 수소’가 100%가 된다. 문제는 수소분자는 마치 의식이 있는 것처럼 행동한다는 것이다. 한방향으로 스핀운동을 하다 온도가 떨어져 추우면 한 분자가 거꾸로 돌아 스핀운동을 양쪽으로 하면서 열을 내 스스로 기화한다. 미리 ‘파라 수소’를 만들어 놓고 냉각하면 그만큼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여기에는 자성을 띤 촉매가 널리 사용되는 데 좀더 효율 높은 촉매 사용법을 개발하는 것이 연구단의 숙제다.
액체수소, 우주로켓·자동차에도 쓰이는 ‘팔방미인’…수요 크게 늘듯 액체수소는 수소자동차 등 미래 에너지원으로서 가치가 크지만 이밖에도 우주로켓 개발, 반도체 및 액정 산업의 환원제 등 여러 분야에 쓰인다. 지난해 5월 우리나라 인공위성 ‘아리랑 3호’는 일본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H2-A’라는 로켓에 실려 우주로 발사됐다. ‘에이치’(H)는 ‘하이드로젠’(수소)의 머리글자다. 일본은 우주개발을 시작하면서 기술적으로 어려운 액체수소 로켓 개발에 나서 현재 90% 이상의 성공률을 자랑하고 있다. 액체수소 로켓으로는 퇴역한 미국의 우주왕복선과 프랑스 아리안5 등이 있다. 인도는 20여년 동안 연구해왔지만 끝내 실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소는 케로신(등유)보다 비추력(단위 중량으로 날아갈 수 있는 거리)이 좋지만, 케로신 로켓에 산화제로 쓰이는 액체산소가 영하 183도에서 유지되는 반면 수소는 영하 253도에서 액화하기에 고도의 기술과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장영근 항공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궁극적으로는 액체수소 로켓 기술도 확보해야 하겠지만 적은 재원을 고려하면 현재 케로신 로켓엔진(한국형 발사체) 개발에 집중하고 액체수소 로켓은 대학 차원의 기초연구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액체수소 자동차 개발에 가장 앞서고 있는 것은 베엠베(BMW)다. 베엠베는 독일 가스공급업체 린데와 함께 액체수소를 연료로 한 자동차를 만들어 우리나라에서도 시연한 적이 있다. 자기냉각 액화기술 융합연구단은 연료탱크를 구해 분석해보려 했지만 공식적으로 판매를 하지 않아 재질 등 제원만 확보한 상태다. 고순도의 액체수소는 자동차, 화학, 광섬유, 반도체, 액정, 유리 등의 생산과정에 환원제로 사용돼 액체수소의 수요는 앞으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액체산소나 액체질소 기술은 민간기업에서도 상당부분 확보했지만 액체수소 분야 연구는 미약하다. 15년 전 키스트 연구팀이 냉동기를 이용한 수소액화 장치를 개발한 것이 거의 유일하다. 당시 연구에 참여한 백종훈 미국 센트럴플로리다대 태양에너지연구소 연구원은 “수소에너지 이용기술은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심각한 에너지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총괄적 해법의 하나로, 수소에너지 저장 및 이용을 위한 자체기술 개발은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경제·외교·안보적 위상을 결정하는 데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근영 선임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