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기술

자폐증 유전자 새로 발견 ‘치료 햇살’

등록 2012-06-14 08:23

강봉균교수팀 논문 네이처에
동물실험서 약물로 증상 호전
서울대·연세대·카이스트(KAIST) 공동 연구팀이 자폐증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새로 발견하고, 이 유전자가 작용하는 과정을 밝혀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강봉균(맨 위 사진·51·서울대 생명과학부), 이민구(둘째·48·연세대 의대 약리학교실), 김은준(셋째·48·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13일 뇌세포의 연결 부위인 시냅스에 존재하는 ‘섕크2’라는 유전자가 자폐증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처음 밝혀내, 논문이 유명 과학저널 <네이처> 14일치(영국 현지시각)에 실렸다고 밝혔다.

자폐증은 사회적 상호작용 결여, 특정행동 반복 등의 증상을 보이는 질환으로 <말아톤> <레인맨> 등의 영화로 잘 알려졌다. 지난해 미국 예일대 김영신 교수팀이 경기도 고양시 초등학생 5만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로는 우리나라 유병률이 2.64%로, 미국이나 유럽의 2배에 이른다. 유전적 원인이 80~90%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반복행동에 대한 치료약만 나와 있을 뿐이다.

‘섕크2’ 유전자는 수많은 시냅스 단백질을 가지런히 배열하는 디딤돌 구실을 하는데, 연구팀은 이 유전자를 없앤 생쥐에게서 자폐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발견했다. 살아 있는 생쥐와 인형이 들어 있는 우리에 정상 생쥐를 넣으면 실제 생쥐에게 관심을 더 보이는 데 비해 섕크2 유전자가 없는 생쥐는 둘을 구분하지 못했다.

연구팀이 섕크2 유전자 결핍 생쥐에게 특정 약물을 주입해 시냅스 안에 있는 ‘엠글루아르’(mGluR)라는 수용체를 자극함으로써 ‘엔엠디에이’(NMDA) 수용체 기능을 간접적으로 회복시켰을 때 생쥐의 사회성 행동이 회복되는 것을 관찰했다. 자폐증은 엔엠디에이 수용체의 결함과 관련이 크고 이 엔엠디에이의 기능을 회복시켜주면 자폐증 환자의 사회성 행동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이지만, 이 수용체 기능을 직접 회복시키는 약물들은 여러가지 부작용을 일으켜 치료약으로 개발할 수 없었다. 강봉균 교수는 “동물실험 차원이지만 약물 치료를 통해 부작용을 피하면서도 자폐증의 주요 증상인 사회성이 개선됐다는 점에서 자폐증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고 말했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무한도전 폐지검토’에 누리꾼 “MBC 절대안봐”
전 대법원장도 사찰대상에…대법 “사법부 독립 위협”
정동영 “대선경선 참여 심각하게 고민”
‘앙숙’ 러시아-폴란드 축구팬 난투극‘
‘4대강 빚더미’ 수공 경영평가는 2년째 ‘A등급’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