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학생들이 적정기술로 만든 ‘슈거 큐픽’ 연주기기. 악기를 접할 수 없는 오지의 아이들이 악기 연주를 경험할 수 있게 설계됐다.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제공
서울대 융합기술대학원 아이디어 발표회
피아노가 없는 오지 마을 아이들의 음악 공부, 잇따르는 보육원 영아 돌연사, 장애인들의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SNS)….
소외와 자원 부족에서 오는 열악한 환경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길은 무엇일까? 지난 20일 오전 경기 수원시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에서는 ‘융합과학기술개론’ 수강생 20여명이 ‘적정기술 발표회’를 열어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각종 아이디어를 쏟아냈다.
한 팀은 ‘엘이디(LED) 버튼 패드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각종 악기 소리가 나도록 만든 ‘슈거 큐브’라는 제품을 선보였다. 각설탕 크기의 버튼 16개를 눌러가며 악기 소리를 낼 수 있어 아이들이 악기 없이 피아노, 바이올린 등을 연주해볼 수 있다. 재료로 들어간 비용은 8만원인데, 학생들은 양산에 들어가면 2만원이면 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다른 팀은 시각장애인들이 사회적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음성을 문자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해주는 ‘트윗블라인드’라는 장치를 고안했다. 발표를 한 김응찬(디지털정보융합학과 석사 1년)씨는 “시각장애인들의 활동 반경은 좁을 수밖에 없는데 음성 트윗 장치는 이들이 능동적으로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있다고 생각했다”며 “팀원들이 모두 소속 학과가 달라 모이기는 힘들었어도 오히려 풍부한 아이디어를 모으는 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학생들은 이밖에도 영유아에게 열센서와 중력센서(자이로센서)를 부착해 질식에 따른 돌연사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영세농의 비닐하우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저농도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장치 등을 소개했다.
이번 학기 과목을 담당한 강남준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2년 전 문을 연 융합대학원에는 자연대·공대뿐만 아니라 음대에서 인문대까지 다양한 학부 출신 학생들이 모여 있어 다양한 지식과 경험이 어우러질 수 있는 조건을 갖췄다”며 “적정기술 수업은 실질적으로 융합을 경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고 말했다.
심사위원으로 학생들의 발표를 지켜본 이재철 오엘피시 아시아총괄대표는 “이용자의 환경을 고려해 기존 기술을 이용해 새로운 기술을 창출해내는 적정기술은 반도체 고용량 연구를 하던 학생이 반도체를 쓰지 않는 시모스(CMOS) 회로를 만드는 것처럼 쉽지 않은 일”이라며 “이런 기술을 정규 과정으로 인정해주는 조건이 형성돼야 진정한 융합기술이 정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근영 선임기자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