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기술

외계 행성 첫 영상 포착

등록 2005-04-30 11:06수정 2005-04-30 11:06

유럽의 천문학자들이 우리 태양계 밖 다른 태양계에 속한 외계 행성의 영상을 처음으로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

`2M1207b'라고 명명된 이 외계 행성은 우리 태양계의 가장 큰 행성인 목성보다 질량이 5배나 크고, 10배나 더 뜨거운 것으로 관측됐다.

지구에서 230광년 떨어진 이 행성은 `2M1207A'로 알려진 갈색 왜성 주위를 돌며, 항성과의 거리가 우리 태양계의 해왕성-태양 거리보다 두 배 정도 멀다.

공전주기는 2천500년. 유럽남부천문대의 게일 쇼뱅은 칠레의 초대형 망원경이 잡은 이 영상은 중력으로 묶인 두 개의 천체가 함께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준다며 "우리 태양계 밖 행성을 사상 처음으로 영상으로 잡았다"고 밝혔다.

유럽남부천문대와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의 천문학자들은 지난해 처음 이 외계행성의 존재를 발견했으나 진짜 행성인지 혹은 갈색왜성인지 확인하기 위해 좀 더 시간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갈색왜성은 행성과 구별하기 쉽지 않다.

지난 1년간 `2M1207b'와 `2M1207A', 두 천체를 관측한 끝에 마침내 천문학자들은 올해 초 문제의 천체 `2M1207b'가 행성이라는 결론을 내렸고, 이를 입증하는 영상까지 얻는 데 성공했다.

지난 1995년 이래 과학자들은 우리 태양계의 태양 같은 항성 주위를 도는 외계행성 약 150개를 발견했다. 하지만 이 행성들은 모두 항성에서 나오는 빛을 분석함으로써 그 존재를 추론한 것이다.


이 외계 행성에 대한 연구 내용은 과학저널 `천문학과 천체물리학'에 실릴 예정이다.

(파리ㆍ로스앤젤레스 AFPㆍAP=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