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기술

‘국가 최고과학자’ 지원사업 6월 시행 계획

등록 2005-04-05 18:23

매년 30억 투자 ‘노벨상’ 열매 맺나

소수 정예의 스타급 과학자를 국가가 선정해 연구활동을 전폭 지원하는 연구지원 사업들이 잇따라 시행된다.

과학기술부는 세계 수준의 연구업적을 낸 한인 과학자를 뽑아 연구비를 크게 지원하는 ‘국가최고과학자’ 지원사업의 시행절차를 곧 마무리하고 오는 6월 공식 시행할 계획이라고 최근 밝혔다. 최고과학자는 해마다 1∼2명씩 최대 10명을 선정해 정부가 최장 5년 동안 해마다 30억원 안팎의 연구비와 별도 시설비를 지원하게 된다.

과기부가 최근 공개한 최고과학자 선정방안을 보면, 최고과학자는 곧 구성될 최고과학자위원회(10인)에서 심의를 거쳐 선정하며 과기부 산하 한국과학재단에 마련될 특별계정을 통해 연구기금·후원금 등을 지원받는다. 선정대상은 한국국적 과학자 뿐 아니라 국내에 연구기반을 둔 외국국적의 한국계 과학도 포함하기로 했다. 과기부 관계자는 “그러나 해외에서 활동하는 한국계 과학자는 대상에서 제외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고과학자의 연구성과는 사후평가에서도 제외되는 혜택이 부여될 것으로 보인다. 과기부 관계자는 “세계 최고를 인정받은 국가최고과학자의 연구내용을 사후 평가하기는 힘들다”며 “아마도 연구성과에 대한 사후 평가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과기부는 40살 미만 젊은 과학자를 대상으로 한 ‘국가특별연구원’ 지원사업을 이달 안에 발표할 예정이다. 세부안을 마련 중인 과학재단 관계자는 “이공계 박사학위를 받은 지 2년이 안 된 40살 미만의 젊은 과학자들 가운데 소수 정예를 뽑아 연구비를 대폭 지원하고 노벨상 수상에 접근하는 연구성과를 내도록 독려하자는 게 이 사업의 취지”라고 말했다. 선정자한테는 해마다 최대 1억5천만원의 연구비가 중간평가를 거쳐 최장 5년간 지원된다.

과학재단 쪽은 “올해 우선 10명을 뽑을 예정이지만 앞으로 대상 인원을 늘려나갈 계획”이라며 “이달 안에 공모 계획을 발표해 9월께 첫 특별연구원을 선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스타 과학자 육성’ 정책과 관련해 서울대 이공계의 한 교수는 “새로운 연구지원 사업을 일단 환영하지만 특정 과학자한테 대규모 지원을 해야 하는 이유나 지원사업이 어떤 성과를 냈는지 등을 따져볼 수 있는 사후 보완책이 없다면 노벨상을 위한 한때의 정책이 될 우려도 크다”고 말했다.

오철우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