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 출신 송봉식박사(32세. 일본 교토대 전기공학)의 빛을 나노 공간에 가둘 수 있는 새로운 구조에 대한 연구성과(Ultrahigh-Q photonic double heterostructure nanocavity)가 14일 유명 과학잡지인 '네이처머티리얼' 온라인 인터넷판( www.nature.com/nmat/ )에 게재됐다.
송 박사의 연구는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진 광결정(빛에 대한 절연체) 구조를 접합시킴으로써 빛을 나노 공간에 강력하게 가둘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고, 이 새로운구조가 종래보다 수백 배 이상 빛을 오래 가둘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입증했다.
또한 구조를 보다 최적화시킴으로써 수십 나노초(1나노초=10억분의 1)동안 빛을가둘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증명했다.
송 박사는 "이번 연구로 빛을 이용한 초소형 광디바이스의 응용에 급물살을 탈것"이라며 "이번에 제안한 구조를 실제로 광디바이스로 실용화시키려면 외부시스템과의 연계성 등 몇가지 문제점을 해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인터넷판은 3월호 인쇄판 게재에 앞서 시행된 것으로 '네이처'지(誌)에서연구성과에 대한 파급효과가 클 것을 고려, 미리 소개한 것이다.
(인천/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