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수중 미세플라스틱의 생물 유입 새 경로 ‘모기’

등록 2018-09-19 16:36수정 2018-09-19 17:21

유충 때 물속에서 섭취한 플라스틱
성충이 되어도 계속 유지 첫 확인
이런 곤충 잡아먹는 동물에 영향
모기 유충.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모기 유충.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우리가 버린 플라스틱 폐기물은 지름 5㎜ 미만의 ‘미세플라스틱’이 되어 먹이 피라미드를 통해 다시 인간의 몸으로 돌아온다. 이렇게 몸에 축적되는 플라스틱은 건강에 큰 위협이 된다. 생명체의 미세플라스틱 오염은 보통 바다로부터 수중 생물을 통해 다른 생물로 번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새 유입 경로가 발견됐다. 바로 ‘모기’를 통한 육상 생물로의 직접 유입이다.

영국 리딩 대학교의 어맨다 캘러헌(Amanda Callaghan) 교수 연구진은 유충 때 물속에서 사는 모기와 같은 벌레를 통해서도 미세플라스틱이 생명체로 유입된다는 사실을 발견해 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에 19일 발표했다.

캘러헌 교수 연구진은 150마리의 수중 모기 유충을 여러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이 담긴 물속에 넣었다. 그리고 무작위로 뽑힌 15마리의 유충과 역시 무작위로 뽑힌 15마리의 모기 성충의 몸 안에서 플라스틱이 검출되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30마리 모두에게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것이다. 유충의 경우 평균 3000개의 2㎛(마이크로미터) 크기 플라스틱 알갱이가 검출됐다. 성충이 되어 날아다니면서 섭취를 멈추고 플라스틱을 몸 밖으로 배출하지만 그래도 평균 40개 알갱이는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의하면 모기뿐 아니라 유충 때 수중에서 사는 잠자리와 같은 유사한 곤충은 모두 미세플라스틱의 새로운 전달자가 될 수 있다. 새나 박쥐처럼 이런 곤충을 먹고 사는 육상 동물을 통한 새로운 미세플라스틱의 오염 경로가 발견된 셈이다. 캘러헌 교수는 “어떤 동물이건 이런 곤충을 잡아먹고 사는 경우 수중 미세플라스틱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종합선물세트같은 우주 사진이 나왔다 1.

종합선물세트같은 우주 사진이 나왔다

누가, 왜 음모론에 쉽게 빠져들까 2.

누가, 왜 음모론에 쉽게 빠져들까

노랑느타리버섯에 노화 억제 효과…심혈관 건강 개선 3.

노랑느타리버섯에 노화 억제 효과…심혈관 건강 개선

‘역대 최강’ 40층 높이 스타십…‘젓가락 회수’ 성공했지만… 4.

‘역대 최강’ 40층 높이 스타십…‘젓가락 회수’ 성공했지만…

명왕성과 위성 카론, 키스 후 서로에게 잡힌 ‘사랑의 포로’ 5.

명왕성과 위성 카론, 키스 후 서로에게 잡힌 ‘사랑의 포로’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