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국내 연구진 조류독감 신속 진단기술 개발

등록 2018-08-22 11:59수정 2018-08-22 14:22

숙주세포 모방한 나노 입자 이용
30분 만에 조류독감 정확히 감별
“신속한 현장대응 가능해질 것”
국내 진단기기업체와 상용화 단계
본 연구결과가 표지 논문으로 실린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 저널 사진. 한국연구재단 제공
본 연구결과가 표지 논문으로 실린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 저널 사진. 한국연구재단 제공
나노 기술을 이용해 조류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의 병원성을 빠르게 구분하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연세대학교 함승주 교수와 고려대학교 송대섭 교수 연구팀이 바이러스가 감염되는 과정과 숙주세포를 모방한 나노 입자를 응용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고병원성인지 저병원성인지 감별하는 데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해당 논문은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트 펑셔널 머티리얼즈> 표지 논문으로 이날 게재되었다.

고병원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조류 및 사람을 비롯한 포유류에서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고, 사망률도 높다. 신속한 방역을 위해선 현장에서 빠르고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현재 진단에 쓰이는 유전자증폭, 세포배양 등의 방법은 전문 인력과 장비가 필요하고 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빠른 현장 검사가 어렵다. 반면 빠른 검사가 가능한 신속 진단 키트는 민감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방법은 정확도가 높으면서도 30분 이내에 감별이 가능한 강점이 있다. 연구팀은 숙주세포를 모방하는 나노 입자를 개발해 이를 가능케 했다. 바이러스가 기생 대상인 숙주세포에 결합할 때에는 융합 펩타이드라는 물질이 나온다. 새 방법은 이때 발생하는 형광을 측정해 조류독감 바이러스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 또 여기에 트립신이라는 효소를 처리하면 고·저병원성 바이러스가 모두 활성화되는 반면, 퓨린 효소를 처리하면 고병원성 바이러스만 활성화되는데 이 차이를 이용하면 병원성도 감별이 가능하다.

이 연구결과는 국내 진단기기 개발 전문업체에 기술이전이 완료돼 상용화 단계에 들어 있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소행성인 줄 알았더니…6년째 우주 떠도는 테슬라 전기차 1.

소행성인 줄 알았더니…6년째 우주 떠도는 테슬라 전기차

시속 1377km, 첫 민간 개발 초음속 여객기 시험비행 성공 2.

시속 1377km, 첫 민간 개발 초음속 여객기 시험비행 성공

지구와 충돌 2032년 12월22일…확률 1% 넘는 소행성, 지금 위치는 3.

지구와 충돌 2032년 12월22일…확률 1% 넘는 소행성, 지금 위치는

국내 연구진, 새로운 전기 ‘스핀 전류’ 상온서 첫 발견 4.

국내 연구진, 새로운 전기 ‘스핀 전류’ 상온서 첫 발견

우주는 현대의 예측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5.

우주는 현대의 예측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