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늙어서 면역을 강화해주는 바이러스가 발견되다

등록 2018-07-03 10:53수정 2018-07-03 11:49

늙은 쥐의 면역 강화를 돕는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인간도 노년에 면역체계를 강화시킬 방법 있을 것”
잰코 니콜라이-주기치 박사. 애리조나주립대(UA College of Medicine - Tucson) 제공
잰코 니콜라이-주기치 박사. 애리조나주립대(UA College of Medicine - Tucson) 제공
우리 면역 체계는 젊을 때 최상을 유지하다가 나이가 들수록 점차 약화된다. 노인이 젊은 사람보다 더 쉽게 감염되고 결국 더 큰 생명의 위협을 받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교 연구진이 나이든 사람의 면역체계를 다시 강해지도록 돕는 바이러스를 발견했다고 2일(현지시각) 밝혔다.

잰코 니콜라이-주기치(Janko Nikolich-Zugich)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발견한 이 특수한 바이러스의 이름은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cytomegalovirus·CMV)다. 이 바이러스는 특별한 외부 증상이 없고 치료제도 없기 때문에 우리도 몸에 지닌 채 살아가는 경우가 있다. 니콜라이-주기치 박사는 “우리 면역체계는 이런 바이러스를 상대하느라 늘 바쁘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이 바이러스를 젊은 쥐에게 주입했고 절반 이상이 늙어서까지 이 균을 지닌 채 살았다. 함께 연구를 진행한 메간 스미시(Megan Smithey) 박사는 “원래 이 바이러스가 쥐를 감염에 더 취약하게 만드리라고 생각했다. 왜냐면 쥐의 면역체계 자원을 소모시키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런데 결과는 반대였다. 연구진이 이 쥐들에게 다른 균을 감염시켰을 때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를 지닌 늙은 쥐가 그렇지 않은 늙은 쥐보다 더 강한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스미시 박사는 “우리는 완전히 놀랐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이들의 외부 감염을 물리치는 티세포(T-cells)를 살펴보았다.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를 지닌 군과 그렇지 않은 군 모두 티세포의 다양성은 높았다. 티세포의 다양성이 높을 수록 다양한 바이러스를 상대할 수 있기 때문에 면역체계가 더 건강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둘 사이의 차이는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를 지닌 그룹의 티세포는 외부 바이러스와 전투에 활발히 나섰지만 다른 쪽의 티세포는 얌전히 있었던 것이다.

연구진은 이 결과가 나이든 사람의 면역체계를 다시 강화시키는 방법을 찾는 발판이 되리라고 기대한다. 스미시 박사는 “이 결과는 노년의 생명체도 면역체계를 다시 강화시키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는 이 능력을 끌어내도록 도왔을 뿐”이라고 말했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소행성인 줄 알았더니…6년째 우주 떠도는 테슬라 전기차 1.

소행성인 줄 알았더니…6년째 우주 떠도는 테슬라 전기차

시속 1377km, 첫 민간 개발 초음속 여객기 시험비행 성공 2.

시속 1377km, 첫 민간 개발 초음속 여객기 시험비행 성공

지구와 충돌 2032년 12월22일…확률 1% 넘는 소행성, 지금 위치는 3.

지구와 충돌 2032년 12월22일…확률 1% 넘는 소행성, 지금 위치는

국내 연구진, 새로운 전기 ‘스핀 전류’ 상온서 첫 발견 4.

국내 연구진, 새로운 전기 ‘스핀 전류’ 상온서 첫 발견

우주는 현대의 예측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5.

우주는 현대의 예측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