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현미경으로 확대해서 본 마이크로로봇의 모습. 전남대 마이크로의료로봇센터 제공.
마이크로로봇을 이용해 퇴행성 관절염을 치료하는 획기적인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전남대 마이크로의료로봇센터 고광준 연구원을 비롯한 연구진은 연골관절 줄기세포를 마이크로로봇에 실어 정확하게 목표 부위를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연구 내용은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헬스케어 머테리얼즈> 7월호 표지 논문으로 실릴 예정이다.
관절연골은 장·노년층이 통증을 호소하는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 부위 가운데 하나다. 하지만 수술 치료로는 주위 신경 손상 위험이 있어, 보통 통증감소 요법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환자에게서 추출한 세포를 이용한 줄기세포를 연골에 주입하는 치료법이 주목받고 있지만, 주사기로 주입하는 지금 방식은 환부 도달률이 10%에 불과한 단점이 있었다.
새 방식은 구멍이 숭숭 뚫린 공 모양의 로봇에 줄기세포를 담아 환부로 유도하는 방식으로, 연구진은 도달률을 90%로 크게 끌어 올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로봇의 크기는 직경 300㎛(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사진)이며, 성분은 체내에서 분해되는 생분해성 폴리머다. 로봇 표면에는 외부의 자기장에 반응하는 나노 자성입자를 부착했다. 로봇에 줄기세포를 실어 체내에 주입한 뒤 몸 밖에서 자기장을 조작해 환부에 보낸다.
이 연구는 26살의 고 연구원이 아이디어를 제시했고 한지원 연구교수(40)와 박석호 교수(47)가 공동연구로 진행했다. 고 연구원은 “향후 상용화 된다면 관절연골 손상의 새로운 치료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